18.191.5.239
18.191.5.239
close menu
KCI 등재
"생명력의 리듬"의 형식 -김우진의 <산돼지>
Form of "The rhythm of the Lifeforce" -Kim, Yu-jin`s SanDoeji(A wild boar)
권정희 ( Jung Hee Kwon )
반교어문연구 30권 149-174(26pages)
UCI I410-ECN-0102-2012-230-002373005

이 글은 김우진의 희곡 <산돼지>(1926)를 작가의 구상과 관련지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수산은 전3막으로 된 희곡 작품을 "생명력의 리듬"으로 구상하여 스케치 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명력의 리듬"의 극 구성 원리와 그 의미를 분석했다. 그 결과 그의 "생명력의 리듬"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과 공명하는 사유 안에서 구상되었음이 명확해졌다. 김우진의 극의 내용과 형식의 구상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에서 도출된 것이다. 또한 김우진이 <산돼지>를 "행진곡"이라 명명한 것도 자신의 생애를 "생명력의 리듬"으로 재구성했기 때문이다. 희곡 <산돼지>의 연애와 자기 정체성의 두 축은 "생명력의 리듬"을 구성 원리로 하는 체계에서 구성된다. 특히 제2막 몽환 장면에서 높은 파고의 곡선이 그려지는데 이것은 극의 생명력의 분출과 관계한다. 또한 제3막에서 직선에 가까운 낮은 선이 지속되는데, 이는 베르그송의 ``순수지속``의 상태인 "참 앎"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산의 생을 관통하는 "lifeforce인가, reason인가"라는 고뇌가 담겨진 이 텍스트는 수산 개인의 정신적 편력의 여정을 형상화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한국문학이 계몽에서 개인의 감각으로의 전회를 내재하는 의미를 함축한다. 1920년대 조선 현실을 변혁하려는 청년들을 모델로 추상화한 새로운 ``개성``에서 뜻밖에 공동체와 갈등하는 청년의 내면의 소리와 조우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at offering another interpretation about a drama SanDoeji(A wild boar) (1926) of Kim,Yu-jin, which is attempt to consider the design of the writer in conne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Text. Kim, Yu-jin had sketched and elaborated "the rhythm of the lifeforce" of whole three books. This article analyzed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and the meaning. As a result, as for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of Kim,Yu-jin, it is certain that it was derived from speculation and consonance with philosophy of life of Bergson. The reason why Kim,Yu-jin named a SanDoeji as "march" was that he reconstituted his life in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Two axes of the love of a SanDoeji and one`s identity are composed of "the rhythm of the internal lifeforce" as a constitution principle. Specifically, the curves of high wave and phantasms in the second scene are concerned with a spout of the vitality of the drama. Furthermore, in the third curtain, the low line, which is almost a straight line continues, represents a state of "duree pure" of Bergson. This work of a suffering carried through Kim, Yu-jin`s life, "lifeforce or reason?", means the itinerary of his own mind journey. Besides, this includes that Korean literature evolved to the personal sense from enlightenment. In this course, young men`s models to revolutionize Korean reality in 1920s come to meet with an internal sound to do a community and a tangle; appea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