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94.251
3.145.94.251
close menu
KCI 등재
케이(E. Key)의 학교개혁론 탐구: 초등교육적 의미
Eine Untersuchung ueber den Schulreformsgedanken von E. Key
정혜영 ( Hye Young Chung )
UCI I410-ECN-0102-2012-370-00187575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독일 개혁교육학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진 케이(E. Key)의 학교교육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학교개혁론’이라는 표제 아래 그 이론적 토대와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고, 초등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케이 학교개혁론의 이론적 토대로서 케이의 교육 및 도야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여기서 개체성의 교육, 주체적 인격의 형성이 핵심 개념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케이의 학교개혁론의 요체를 학교비판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았다. 케이는 특별히 그 당시 학교의 통제성과 획일성 등을 비판하였으며, 남녀 학생의 분리교육을 비판하고 과도한 교과내용 및 교과의 구획화와 세분화를 비판하였다. 이러한 비판을 전제로 케이는 자신의 교육 및 도야 개념에 근거하여 새로운 학교모델을 제시하였다. 즉, 학교의 목적은 ‘보다 높은 삶의 형태’로 발달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도야제도로서 유치원 대신에 가정적 수업을 제안하고 이후 다양한 사회계층 및 남녀 학생의 통합학교를 제안하였으며, 미래의 교육과정을 ‘4개의 초석’이라는 명칭 아래 조기 전문화, 집중, 독립적 활동, 현실근접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케이의 새로운 학교 제안의 의미를 탐색하고 초등교육의 개념 정립 및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dieser Arbeit versuche ich die Charakteristika des Schulreformsgedanken von E. Key zu betrachten und daraus die Implikationen fuer grundschulpaedagogische Theorie und Praxis herauszuarbeiten. Zunaechst werden der Erziehungs- und Bildungsbegriff bei Key als die theoretische Grundlage des Schulreformsgedanken erlaeutern. Als das Ziel der Erziehung hat Key festgeschrieben, die eigene individuelle Natur des Kindes auszubilden und sie hat den Bildungsbegriff als Persoenlichkeitsentwicklung versteht, allerdings auch als lebendiges Lernen. Zweitens werden die Schulreformsgedanken von Key betrachtet im Zusammenhang mit der Schulkritiken. Keys Kritik an dem bestehenden Schulsystem laesst sich drei Punkten zusammensetzen: eine generelle Verallgemeinerung und Schmatisierung des einzelen Schuelers, getrennte Maedchen-und Knabenschulen, nicht bildsam Unterrichtstoff. In diesem Zusammenhang erwaehnt Key das Ziel der Schule, die Stufung des Bildungswesen, Curriculum und Unterricht ihrer Schule der Zukunft. Abschliessend werden einige paedagogischen Bedeutungen der Schulreformsgedanken von E. Key dikutiert und die Implikationen fuer grundschulpaedagogische Theorie und Praxis herausarbeite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