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61.16
18.218.61.16
close menu
KCI 등재
교수 첨삭 담화와 교정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Instructor Commentary Discourse and Revision
이재기 ( Jae Ki Lee )
국어교육학연구 40권 467-502(36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2458262

이 논문의 목적은 교수 첨삭 담화와 교정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86개의 초고와 완성본, 841개의 첨삭 담화를 분석하여 첨삭 담화가 교정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기능 범주와 화제 범주를 결합한 첨삭 담화 유형별 빈도 수를 살펴보면, DF(62.19%)>EC(14.41%)>EO(8.68%)>DO(3.33%)>DC·SC(2.9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문의 형식(맞춤법, 띄어쓰기, 어휘, 문장, 문체 등)상의 오류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수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지시한 담화가 가장 많았다. 작문의 내용과 조직의 적절성 여부를 평가하는 담화와 작문의 내용과 조직의 수정 방향을 지시한 담화도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첨삭 담화의 기능 유형별 교정 반영 정도를 살펴보면, 지시하기 담화가 8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언하기(52.78%), 평가하기(50.97%), 질문하기(33.88%), 표현하기(0.00%)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첨삭 담화의 화제 유형별 교정 반영 정도를 살펴보면, 형식(68.65%)>조직(61.94%)>내용(29.20%)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형식에 대한 교정 반영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내용에 대한 교정 반영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 제안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첨삭 담화는 협력적이고 대화적이어야 한다. 2)평가나 질문 맥락이 잘 드러나도록 첨삭 담화를 구성해야 한다. 3)지시하기 담화는 설득 장르의 성격을 지녀야 한다. 4)질의 응답, 상담, 토론 등과 같은 이차적 대화 과정이 있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instructor commentary discourse and revision. For this, 86 drafts and the finished papers, 841 commentary discours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instructor commentary discourse types by their function and topic categories reveals the frequency of DF(62.19%)> EC(14.41%)>EO(8.68%)> DO(3.33%)> DC·SC(2.97%), The most discourse type was to indicate the errors of the form of the composition and to instruct how to revise them. The analysis of the extent of the reflection to revision of the commentary discourse by their function reveals the frequency of directing(88.33%), suggesting(52.78%), evaluating(50.97%), questioning(33.88%), and emoting(0.00.%), The analysis of the extent of the reflection to revision of the commentary discourses by their topic reveals the frequency of form(68.65%), organization(61.94%) and content(29.20%).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this study suggests four proposal. They are as follows: 1) Commentary discourse should be cooperative and dialogic. 2) Commentary discourse should be made to expose the context of the evaluation and questioning.3) Directing discourse should posses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suasion genre. 4) Subsequent dialogic processes such as question-answer, counsel and discussion are need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