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08.168
18.191.108.168
close menu
KCI 등재
시에 대한 가치론적 물음과 응답의 영화, <시>
An Axiological Question and Answer of the Movie, "Poetry"
황혜진 ( Hye Jin Hwang )
국어교육학연구 40권 621-649(29pages)
UCI I410-ECN-0102-2012-680-002347001

이 연구는 텍스트와 수용자가 만나는 경계의 어름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특히, 영화가 가치 문제를 제기하고, 주인공을 내세워 이 문제를 서사적으로 탐구하며, 그 문제에 대한 자기응답을 마련하여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려는 힘의 작용과, 그로 인해 생성된 수용자의 반작용이나 반응을 고찰하려 하였다. 영화 <시>는 그 창작 동기가 표명되었으며, 가치 문제가 이미지화되어 제시되고, 미자라는 인물의 서사적 행로를 통해 탐구되며, 시의 가치에 대한 영화적 답변이 서사 구조와 결말 처리로써 분명히 드러난다. 한편, 이 영화는 관객에게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하고 있다. 먼저, 이 영화는, 그야말로 시적인 풍경 속에 갑자기 끼어든 익사체가 주는 이질감과, 영화 제목과 주검이 병렬적으로 제시되는 인상적인 오프닝 시퀀스를 통해 이 영화가 탐구하고자 하는 가치 문제, 즉, ``죽음의 현실에서 시란 과연 무엇인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관객은 대립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의미항의 병렬을 일종의 충격으로 느끼면서 영화가 두 의미항을 어떤 방식으로 결합시켜 어떤 의미를 만들어 낼 것인가에 대한 기대를 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는 서사적 탐구의 주체인 ``미자``라는 주인공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진다. 하루 동안 펼쳐지는 미자의 일상은 다소 밋밋하고, 관객이 영화의 서사세계를 체험하는 데 매개가 될 인물로서 미자는 너무 평범하고 서사를 끌고 나갈 힘이 약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인물이 어떻게 앞으로 서사를 이끌며 이 영화가 다루려는 무거운 가치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까 하는 염려 섞인 흥미를 끌기도 한다. 주인공의 평범함과 매력 없음이 오히려 관객이 관객으로 하여금 해석적 의미를 이끌어 내도록 자극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격적으로 영화의 서사가 펼쳐지는 부분에서 이 영화는 미자의 두 가지 지향, 즉, ``자살 문제 해결하기``와 ``시 짓기``와 관련된 두 갈래의 서사를 진행시킨다. 둘로 나뉜 서사의 흐름은, 희진의 어머니를 위로하러 찾아간 미자가 자신의 목적을 잊고 자신의 시적 성취만 자랑하다 돌아서는 부분에서 ``빗나간 충돌``을 하고, 이후 방향을 전환하여, 미자가 손자를 고발하고, 희진을 위한 시를 지으며, 결국 자신의 목숨으로 속죄하는 결말로 단단히 갈무리된다. 이러한 서사 구조는 관객에게 독특한 형식 체험을 가능하게 하며 감정적 흐름에 특별한 리듬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서사 구조에서 비롯된 감흥은 관객이 이 영화의 결말, 즉, 가치 물음에 대한 영화적 답변을 감화적으로 받아들이게끔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미자가 쓴 시는 단지 영화의 감동을 이어나가기 위한 ``에필로그``를 넘어 영화적 답변의 의미를 보다 분명히 하고 역할을 한다. 희진의 아픔과 고통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그를 대신해 울어주고, 죽음의 검은 강물 앞에 선 이의 절망 너머 곱고 여린 마음까지 알아주며, 연루된 이로서 그 죽음에 어떤 방식으로든 속죄하는 것이야말로 죽음의 현실에서 시 짓기의 가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boundary where the meeting area of the text, Poetry and the audience to understand what are happening in this area. And, this study considered the movie as the product of the question and self-answer of the problem, "what is the poetry?". The problem is an axiological one, because that involves values of the poetry in the present situation. In this study, I tried to describe actions of the text and operations of it`s power to the audience. In the opening sequence, the text shows the title and a dead body in parallel, the peaceful riverside in the background. The impressive opening sequence is effective for giving the question of values of poetry in the present of dying. The unattractive heroine, Mija has two goals to achieve in the narrative, the one is to write a poet, and the other is to solve the problem of a girl`s suicide in which her grandchild was complicit. But, she is looked so week to deal well with them. The narrative of "Poetry" has two courses, same as two goals of heroine. Courses are seemed separated in two, till the collision of them. But, after the slightly missed collision, two course are closely connected. And, in the Mija`s poet, they conflate with each other, making the message for the answer of the axiological probl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