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244.83
3.143.244.83
close menu
KCI 등재
선사(禪師)의 "여유로움"과 한국 선시(禪詩)에서의 구현
"Breadth of mind" of Seon monks, and its realization in the Soon poetry in Korea
조상현 ( Sang Hyun Jo )
한국한문학연구 47권 237-273(37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2461128

본고에서는 선사의 삶에 드러난 학者의 여유로움을 규정하고, 이것의 시적구현을 한국 禪詩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이러한 선사의 여유로움을 ``대상에 無碍한 여유로움`` 과 ``生死에 自在한 여유로움``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상에 무애한 여유로움``은 法界의 實相과 自我의 內面을 관조하여 그 본질이 空性임을 투철히 깨닫고는 현실의 어떠한 상황에서도 걸림 없이 자유로운 여유임을 밝혔다, 이는 또한 眞/俗이 다르지 않는 ``眞俗不二``의 여유로도 나타난다. 즉 臨濟 義玄(?~ 867) 禪師의 법문을 통해 선사들이 대상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원인을 밝혔으며, 龐居士(?~?), 丹霞天然(739,824), 鏡虛 惺牛(1846~1912) 선사의 일화를 통하여 그에 대한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생사에 자재한 여유로움`` 은 선사들이 삶을 유회하며. 죽음에 초연한 여유임을 논하였는데,普化 및 龐居士와 그의 딸 靈照의 입멸 이야기를 통해 선사들의 생사에 자재한 여유를 고찰하였다. 한편 이러한 선사들의 여유로움은 한국 선시에서도 구현되는데, 본고에서는 위의 특징 에 따라 ``대상에 무애한 여유로움``과 ``생사에 자재한 여유로움`` 이 구현된 시를 분석하였다. 즉 白雲 景閑(1299~ 1374) 의 ``無心``과 眞覺 慧諶(l178~l234)의 ``眞俗不二`` 등이 구현된 시를 통해 ``대상에 무애한 여유로움`` 의 시적 구현을 살펴보았고 ``생사에 자재한 여유로움`` 은 太古 普愚(1301~1382), 懶翁 慧勒(1320~I376),淸虛 休靜(1520~1604) 의 시에서 그 구현 양상을 자세히 파악하였다. 특히 선사들의 『臨終偈』 를 중심으로 선사의 ``생사에 자재한 여유로움`` 의 시적 구현을 살펴보았는데, 그 중 懶翁과 淸虛의 『臨終偈』는 상호보완적 의미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즉 각각의 선시에는 ``卽心卽佛``의 唯識佛性思想 과 ``非心非佛`` 의 般若中觀思想에 의거한 생사자재의 선사낭이 나타난다. 하지만 括虛大師(1720~1789) 의 詩文에서는 兩者 融會的 사상이 나타난다. 특히 그의 『臨終偈』에는 그러한 사상이 선명히 구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禪詩는 논리적 사상에 의거하여 창작 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수행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自 에 의한 것임도 浮休堂 大師(1543~1615) 의 시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o define the breadth of mind of seon monks and its realization in the aeon poetry in Korea. The breadth of mind is divided into two: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the object`` and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life and death.`` Specifically,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the object`` is a mind to meditate the reality of the universe and inner side of ego, and to realize its nihility as a nature that gives a bold mind in any circumstances. It illuminates the reason for free through the lesson of lmje Euihyeon(臨濟 義玄,?~867), and examines specific features through the anecdotes of Banggeosa(龐居士,?~?), Danha Cheonyeon (丹霞天然, 739~824), Gyeonhe Seongwoo (鏡虛 惺牛, 1846~1912). And, the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life and death`` is a mind to enjoy life and to keep clear of death. It is particularly examined by the stories of death of Bohwa(普化), Banggeosa(龐居士) and his daughter Youngjo(靈照). Such mind of monks based on mindless(無心) is realized in the seon poetry of Korea.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analyzes the poems that realize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the object`` and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life and death``. ``mindless`` of ,Jawoon Gyeonghan (白雲 景閑, 1299~1374), and ``non-duality of ultimate truth and relative truth ``by Jingak Hyesim (眞覺 慧諶, 1178~1234) are chosen to investigate the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the objects``. And ``the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life and death`` is investigated through the poems of Taego Bowoo (太古 普愚, 1301~1382), Naong Hyegeun (懶翁 慧勒,1320~1376), and Cheongheo Hyjeong(淸虛 休靜, 1520~1604). The poetic realization of ``freedom from life and death`` is investigated based on 1mjonggye(臨終偈, deathbed confession), among which confessions of Naong(懶翁) and Cheongheo(淸虛)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Each poem has a seon thought based on knowledge based attaining Buddhahood thought(唯識佛性思想) of ``This very mind itself is Buddha.`` (卽心卽佛), and ``Banyajunggwan`` thought (般若中觀思想) of ``This very mind which is Buddha is neither mind nor Buddha.``(非心非佛). However, the poem of the great Gwalheo (括虛 大師, 1720~1789) shows syncretic thoughts of both ideas and it is clearly embodied in his ``Imjonggye``(臨終偈). However, the fact that the seon poetry is not created by the logical ideas, but by the thorough seon practice is also examined by the poems of the Great Buhudang (浮休堂 大師, 1543~1615).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