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39.55
3.129.39.55
close menu
KCI 등재
토론 지도의 원리와 실제 ;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중등 학습자군의 웹 토론을 대상으로-
A Study on Contents System of Web Debate Teaching -For Students at Secondary Grade-
서승아 ( Seung Ah Seo )
화법연구 18권 39-72(34pages)
UCI I410-ECN-0102-2012-800-002470089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토론 교육의 내용 요소를 선정하고 체계화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실제 국어과 교실에서 토론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든 점을 감안하여, 교육방송의 웹 토론 상황에 게시된 발화들을 자료로 대신하였다. 의사소통행위로서 토론은 경쟁적이고 문제해결적이며 현실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지식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참여자의 준비가 미비하여 토론 교육의 본질적 성격이 왜곡되어 나타난다. 매체 환경이 과부하 상태로 변화되고 있는 지금,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의사소통이 중요하므로 토론 교육은 빠르게 도입되어야 한다. 필자는 수사구조분석에 의해 분석틀을 마련하고 말터를 구분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육방송의 웹 성격상 학습에 관심있는 참여자들의 발언이 지배적이었으나 중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토론 교육의 내용이 감각, 태도, 방법의 범주에서 논제별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토론 교육은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타당하여 학습자 스스로 문제 해결 주체로서의 역할을 인지하게 하고, 토론 상황을 삶의 경험과 연계하여 유용한 지식으로 확인케 하며, 적극적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일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stematization of (web) debate teaching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department. The object for this research is a set of utterances which is constructed of debate room in national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instead of authentic classrooms where are not suitable to teach and learn by now curriculum. These are authentic data as a result that is inquired among many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whole country. Debate as a communicative action is competative, problemsolving, actual thing. But it is not accomlished the task in now here because of irrelevant teaching practice and ones` ill manner. In nowadays, people lived in this world of communication overload by media. So critical thinking and argumentative expression is the most important in this society. Researcher prepared an analysis tool by RST and divided topoi of the object. Resultingly, scholastic minded students dominated speaking rights and show unfairness. But they produced the most meaningful data to prove students` authentic levels. So researcher could systematize teaching contents with them. The system is concreted three categories(matter, manner, method) classfied by the theme of students` argument. Therefore researcher insist on debate teaching as that practice is appropriate to educatioal purpose of society, say that Debate teaching is the effective and opportune method based on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students can perceive main role as democratic citizen, connect with their living experiences and extend their enterprising spirit by the debate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