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161.132
18.227.161.132
close menu
KCI 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미래적 생애의 시공간(時空間)을 향한 문학교육의 역할-
Literature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The Role of Literature Education toward Time and Space of Futuristic Life-
박인기 ( In Gee Park )
UCI I410-ECN-0102-2012-350-002407587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은 미래사회의 개인이 살아가는 생애 전체의 시간과 공간을 함께 살펴야 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혁신을 해야 한다. 문학이 생활과 다양한 방식으로 호환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미래사회에서 문학교육은 생애 전체를 통해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적 소통``을 경험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 고도의 기술문명 속에서 학습자에게 ``심미적 도야``를 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애교육은 역동적이 될 수 있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예술사회학이나 문화사회학의 영향 가치를 잘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교육의 문학교육``은 탈제도화를 지향하고, ``생애교육의 문학교육``은 제도화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양자는 상호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teratur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should look into the entire life-long time and life-space of each individual in future society, and a curriculum innovation is needed for interaction of those two(life-long time and life-space). It should develop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literature is compatible with life in various ways. The literature education in future society should be done through the whole life and focus on leading students to experience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ir every lifetime and life-space. Moreover, the education should lead them to pursue ``esthetic cultivation`` in high-degree technical civilization and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 can become dynamic. The content and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hange of future societ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value based on sociology of art and the sociology of culture.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needs to aim deinstitutionaliz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needs to aim institutionalization. And it is advisable that both sides interact with each oth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