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1.240
3.141.31.240
close menu
KCI 등재
문화자본의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the Cultural Capital in Korea
이희연 ( Lee Hee Yeon ) , 염승일 ( Seung Il Yum )
UCI I410-ECN-0102-2012-300-002300125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로 불리울만큼 문화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Throsby가 제시한 문화자본 개념을 토대로 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자본을 세분류한 후, 이를 토대로 문화자본의 공간분포 패턴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군집분석을 통하여 234개 시·군·구를 문화자본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 문화자본은 다른 자본과 마찬가지로 지역 간 불균등이 상당히 심화되어 있으며, 특히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자본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7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수도권의 대부분 지역은 문화자본이 풍부한 그룹에 속하고 있으며, 광역시의 경우 문화자본이 풍부한 그룹과 부족한 그룹으로 분류되어 광역시 간에도 문화자본의 편차가 나타나고 있었다. 특정 지방도시의 경우 수도권보다 특정 유형의 문화자본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해당 문화자본을 통한 지역발전 전략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지방 시·군의 경우 문화자본이 부족한 유형에 속하고 있어 지역 간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문화정책과 지방 시·군의 문화계획 수립을 통한 지역경제발전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culture itself is being more important as the 21st century is so called as a century of culture. The cultural capital have actively studied in advances economies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as Throsby suggested. This study attempts not only to classify the stock of cultural capitals in 234 administrative units of shi·gun·gu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of sub-categories of cultural capitals, but also to analyze it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ultural capital shows a highly uneven pattern in Korea, strongly concentrating the capital region. Second, 234 regions can be classified into seven different groups. The capital region is categorized into a abundant cultural capital group with several other metropolitan cities, while the others are categorized into the insufficient group. There are some local cities which have higher level than the capital region, suggesting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their superior position on cultural capital. However, most local regions are suffering from lack of the cultural capital. It needs to promote local cultural planning as well as culture oriented policies to make mor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from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