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05.41
3.138.105.41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 고찰
Review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유리 ( Yu Ri Kim )
UCI I410-ECN-0102-2012-590-002417027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기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국내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회성 중재와 관련된 총 23편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선정되었고, 이 문헌들은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방법이라는 세 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들은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자기표현 기술, 대인관계 기술, 이성관계 기술, 문제해결 기술, 학업-직업관련 기술에 대해 교수하고 있으나 연구들마다 두세 가지의 기술들을 단편적으로 가르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이러한 기술들은 강의, 토론, 역할놀이를 통해 주로 교수되었다. 셋째, 사회성 기술 중재의 효과는 주로 검사도구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직접관찰을 통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평가는 매우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이 토론되었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도 논의 되었다.

Well-developed social skills can help transition-ag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 strong and positive relations, succeed in school and work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Korean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and research. A total of 23 studies were reviewed in terms of (a) program content, (b) instructional methods, and (c) evaluation techniques.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skills interventions included teaching about asser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social-sexual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academic-work related skills. However, there appeared that social skills programs often covered teaching about two or three of the social skill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lecture, discussion, and role-play were the primary instructional strategies employed in social skills instructions. Moreover, existing studies often relied on instrumen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