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2.172
3.133.12.172
close menu
KCI 등재
발달장애 대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진로태도 분석
The Analysis of Career Aptitudes for Vocational Transi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김대룡 ( Dae Ryong Kim ) , 신현기 ( Hyun Ki Shin )
지적장애연구 13권 3호 133-152(20pages)
UCI I410-ECN-0102-2012-360-002231772

본 연구는 발달장애 대학생들의 진로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여 그들의 성공적인 직업 준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으로써 비통합학과의 23명, 통합학과의 20명, 총 43명을 대상으로 진로태도를 조사 하였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진로태도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8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진로태도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 분석과 집단 간 차이를 밝히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대학생들은 학년 구분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고학년들의 진로에 대한 태도가 저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 대학생은 통합유무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통합되지 않고 특성화된 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이 일반학과에 통합된 학생들보다 더 높은 진로태도를 보였다. 셋째, 발달장애 대학생들의 진로태도에서의 성별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발달장애 대학생의 졸업 후 성공적인 직업 활동을 위한 대학교육은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통합모형과 발달장애를 고려해 특성화 이론에 근거한 직업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 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 및 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 대학생들의 고등교육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of career aptitudes for vocational transition among college students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to develop successful vocational readiness programs appropriate for them. For this purpose, 43 students with DD who were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tudy.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comprised of 47 items and included interviews later. A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approach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information and the difference of the career awareness between groups.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 grade students show better awareness of career than low grade student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a school year of college students with DD. Second, not-included class students were higher in the career awareness than included class students through whether college students with DD were included or not. Third, the distinction of sex show no differences in the career awareness of college students with DD. According to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dvanced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D may be effective and that to accomplish successful vocational readiness for them need to consider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development based on trait-factor theory and inclus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indicated a dire need for various career awareness programs development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the career of college students with D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