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70.157
3.129.70.157
close menu
KCI 등재
경찰의 직무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외근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 분석
The Analysis of Field Police Officer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for the Application of Police Job Stress Reduction Program
이옥정 ( Ok Jeong Lee ) , 지영환 ( Young Hwan Ji )
UCI I410-ECN-0102-2012-320-002529579

본 연구는 외근 경찰관의 업무 특성상 경험하게 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실태를 파악하고,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주목하여, 외상성 사건 경험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 대처양식의 매개·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280명의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근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실태를 살펴보면, 64명(22.9%)이 PTSD 진단 집단에 속하며, 48명(17.1%)이 부분 PTSD에 분류되므로, 전체 조사대상자 중 112명(40%)이 부분 PTSD 이상의 증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경찰관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찰관의 경험한 외상성 사건 개수와 외상성 사건 충격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관의 역기능적 대처양식이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찰 업무 특성상 피할 수 없는 외상성 사건 경험으로 인해 역기능적 대처양식이 증가하고, 결국 경찰관의 PTSD가 악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외상성 사건 개수와 동료지지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동료지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경찰관들에게 경험한 외상성 사건 개수가 증가할 때 동료지지는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증폭시키는 역완충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예방을 위해 효과적인 대처양식의 습득과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의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경찰관의 외상성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field police officer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to focus on the factors affecting police officers` PTSD symptoms, especially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traumatic events experience and the mediating·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280 field police officers, an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First, 64 police officers(22.9%) are in PTSD diagnosis group, and 48 officers(17.1%) are in partial PTSD diagnosis group. So 112 officers(40%) among 280, show symptoms more than partial PTSD. Therefore in this study, police officers show quite high post traumatic stress level. Second, the number and shock of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symptoms of PTSD. Third, police officers` maladaptive coping strategy has positive effect on the symptoms of PTSD, and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experience and PTSD symptoms. This means that inevitable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due to the job nature, increase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and finally worsen police officers` PTSD symptom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experience and PTSD symptoms, the interaction term of traumatic events number and peer suppor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support is verified. When the number of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increases, peer support has reverse-buffering effect on PTSD symptoms. In this regard, to prevent police officers` PTSD, there should be programs teaching police officers effective coping strategies and enhancing positive social support, and also structured traumatic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police offic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