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61.246
3.22.61.246
close menu
KCI 등재
근대문학과 "번역/번안"의 문제 ; 정신과 육체의 길항 -1910년대 "부부애"의 번안/번역-
Mechanism of Physicality and Mentality;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Marital Love in the 1910`s
권정희 ( Jung Hee Kwon )
반교어문연구 31권 5-32(28pages)
UCI I410-ECN-0102-2012-340-002358950

이 연구는 메이지 30년대 도쿠토미 로카의 <호토토기스(不如歸)>가 한국에서 수용된 의미를 ``사랑(愛)``의 번역을 중심으로, ``사랑(愛)``의 개념이 정착해 가는 근대를 향한 여정을 가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혼후``부터 서사가 전개되는 <호토토기스>에서의 ``사랑(愛)``은 ``부부애``의 문제이며, 이는 근대의 낭만적 사랑에 이르는 통과제의이다. 따라서 1912년이라는 식민지 초기의 한국에서 원작의 ``부부애`` 담론이 어떻게 번역/번안되었는가는 사랑·성·결혼 등을 둘러싼 근대와 전근대의 갈등의 한복판을 관통하는 일이며 결혼이나 가족제도, 혹은 내면의 발견 등 근대적 ``사랑(愛)`` 관념이 불일치하는 현장을 목격하는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선우일의 번안 <두견성>과 조중환의 번역 <불여귀>를 중심으로, 원작의 ``사랑(愛)``의 번역 양상을 추적하여 차이를 주목했다. ``사랑``에 대한 번역자의 시선은 한자어 ``애(愛)``와 ``정(情)``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두 가지 양상으로 전개함으로써 사랑의 개념이 한자라는 언어의 자장 안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했다. 전자는 육친애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부부애``의 정신적인 친밀감을 상상했으며, 후자는 남녀간의 ``정(情)``을 확장하여 섹슈얼리티를 부각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당대의 봉건적 구도덕과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정신적 사랑과 육체적 사랑이라는 이분법적 사랑 개념의 갈등과 긴장이 드러나는 것이며, 이 점에서 당대의 <호토토기스>가 한국에서 변용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at exposing the path toward the modern when the conception of ``love`` is established, referring to the discourse of ``love`` in Bullyogwi translated as Hototogisu, the novel by Tokutomi Roka in the 30s. In Hototogisu, where narrative begins after the marriage, the kernel of the discourse of love is the marital love, which was a necessary discursive procedure in reaching to the modern romantic love. Thus, the issue of how the discourse of ``marital love`` was translated in 1912, the early colonial days in Korea, was to witness the conflict between modern institution and the conception of ``love. From the concrete perspective, This paper tried to search the mode of translation of ``love`` in Cho jung-whan`s Bullyogwi, giv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from Son u-il`s adoptively-translated version of Dugyonseong. As a result, This disclosed that the ``marital love`` in the original novel had been limitedly translated, making the physical aspect of love salient and the filial piety. The translater`s gaze at ``love``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love had been formed in context of the dominant imagination of "情(Affection)"and "愛(Love)" of Classical Chinese in those days. While the former was based on love for the blood relationship love, imagining mental friendly feeling of the couple love, the latter widened "情 (Affection)" between men and women, highlighting a sexual impulse of the couple love. This shows the conflict and the tension between the mental love and the physical love, based on the patriarchal old morals and the christian world-view. The significance of Hototogisu`s translation is in this fa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