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35.196
3.15.235.196
close menu
KCI 등재
근대문학과 "번역/번안"의 문제 ; 20세기 전반기, 이언진 문학의 호명 양상
The Pattern of Citation of Lee Eon jin`s Literature in the Early 21st Century
한영규 ( Young Gyu Han )
반교어문연구 31권 65-99(35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2454883

이 논문은 근대전환기에 과거의 한문전통이 어떻게 평가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우선 18세기 시인 이언진에 주목하였다. 이언진은 18세기 중인문학이 산출한 대표적 작가이고, 19세기에는 이상적·김석준 등의 역관이 그의 문학을 계승하고 재평가하려는 시도가 왕성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 이언진 시의 독창성이 현재적 시각에서 새롭게 해석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근대전환기에 이언진을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는 지금까지 공백으로 남아 있었다. 이언진의 작품은 20세기 전반기에 두 가지 층위에서 호명되었다. 우선, 근대 계몽기 신문·잡지에서 이언진의 시가 수차례 호명된 사례가 확인된다. 『황성신문』 『대한협회회보』 『서북학회월보』의 편집자는 이언진의 시를 소개하면서, 그가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에서 쓴 시를 선발하였다. 이언진이 18세기 일본에서 문명(文名)을 떨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일본의 식민 지배를 목전에 둔 시점에서 근대계몽의 시선으로 그의 시를 호명한 것이다. 다음으로, 1910년대에 최남선에 의해 이언진의 작품이 주요 민족 고전의 하나로 호명되었다. 최남선은 이언진의 『송목관집』을 조선광문회를 통해 출판을 시도하였고, 또한 『청춘』에 이언진의 시를 게재하는 한편 『시문독본』에서 이언진의 척독을 특별히 부각시켰다. 그러나 최남선은 식민지라는 현실 조건으로 인해 이언진 호명에서 매우 현실적인 자세를 취하기도 하였다. 그는 『청춘』에 박지원의 「방격각 외전」을 모두 번역해 게재하면서도, 이언진의 전기인 「우상전」의 번역·게재는 끝내 실현시키지 못하였다. 그것은 박지원의 「우상전」에 이언진이 18세기 일본을 폄하하는 시가 여러 편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문전통의 근대적 호명 양상은 매우 다층적으로 면모를 보였으나, 거시적으로 보아 문예적 성향에서 차츰 학문적 성향을 중시하는 쪽으로 그 축이 이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근대계몽기에 다양하게 호명되던 한문전통은 1910년대 이후 전범성이 강화되는 경향을 띠었다.

This study explored Lee Eon-jin, a poet in the 18th century,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past tradition of Chinese literature was evaluat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modern times. Lee Eon-jin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middle-class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re were many efforts to inherit and reevaluate his literature by interpreters such as Lee Sang-jeok and Kim Seok-joon in the 19th century. Recently, moreover, Park Hee-byeong reinterpreted the originality of Lee Eon-jin`s poetry from a contemporary viewpoint.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how Lee Eon-jin was understoo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Lee Eon-jin`s works were citied largely in two groups. First, Lee Eon-jin`s poems were cited several tim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introducing Lee Eon-jin`s poetry, the editors of Hwangseong Sinmun,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sociation and The Monthly Bulletin of the Seobuk Academic Society selected poems that he wrote in Japan as a member of a delegation. They spotlighted Lee Eon-jin who won win literary fame in Japan in the 18th century, and cited his poems from the viewpoint of modern enlightenment at the time having Japanese colonial rule ahead. Next, Lee Eon-jin`s works were cited by Choi Nam-seon in the 1910s as a core of national classics. Choi Nam-seon attempted to publish Lee Eon-jin`s Songmokgwanjip through Chosun Gwangmunhoe. He inserted Lee Eon-jin`s poems in The Youth, and brought Lee Eon-jin`s epistolary literature into relief. In the colonized situation, however, Choi Nam-seon showed a limitation in citing Lee Eon-jin. He translated the whole of Park Ji-won`s Banggyeonggak Ojeon and published it in The Youth, but failed to translate and publish Lee Eon-jin`s biography Usangjeon. It is probably because Park Ji-won`s Usangjeon contained a number of Lee Eon-jin`s poems despising Japan in the 18th centu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