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5.183
3.15.5.183
close menu
KCI 등재
16-17세기의 시사(詩社)와 아집(雅集) 『용성창수집(龍城唱酬集)』 연구 -이본 소개를 겸하여
A study for Yongseong changsujip(龍城唱酬集)
박종우 ( Jong Woo Park )
한문학보 25권 123-139(17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2992184

이 글은, 최근 새로 확인된 『龍城唱酬集』을 중심으로 기존 판본과 대비하여 定本化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그 문학사적 의의를 상정하는 데에 최종 목표를 둔다. 『龍城唱酬集』은 현재 책 제목만이 전해지고 일부 시편들이 각 작가의 문집에 산견되고 있었다. 그러다 1997년에 처음 일부 시편이 소개되었고, 이후 몇몇 관련 판본들이 공개되면서 책의 전체 규모를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일부 작가명 및 자구의 오류가 보이고, 무엇보다도 수록 작품의 배열이 모두 白湖 林悌의 原韻으로 되어 편차 상의 의문점이 남아 있었다. 이번에 새로 소개한 판본은 우선 일반적 酬唱 관행을 따르고 있는 점에서 앞서 소개된 판본의 문제가 해명될 수 있는 자료로서 일정 정도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따라서 『龍城唱酬集』의 정본화 작업에 있어서 단순한 자구 상의 출입을 넘는 이본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龍城唱酬集』의 문학사적 의의는 당대의 집단 향유 문화가 확산되는 배경 속에서 찾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樓亭題詠과 詩會의 유행도 역사적 계기의 하나였음을 살펴보았다. 『龍城唱酬集』은 엄숙한 도학적 분위기가 지배하던 시대에 시적 개성과 다양한 정감을 시창작에 도입하여, 17세기 한시 창작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 시회를 주도한 호남 문인들은 도학적 문학론을 기저에 두면서도 훨씬 다양하고 유연한 시적 개성과 상상력 및 감정의 자연성을 구현한 시인들이었다. 그들은 사림으로서의 自矜을 버리지 않으면서, 또 한편으로 경물의 다채로운 아름다움에 탐닉하는 낭만적 시정신을 소유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산수미에 심미적으로 몰입하며 자신의 감정을 적극 표현하고자 하였고, 자유분방한 호기를 표출하는 새로운 시세계를 體現하였다. 그 결과 그들의 문학적 성취는 그 시대가 열망하던 높은 단계의 문학적 성취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newly discovered edition of Yongseong changsujip 龍城唱酬集(a collection of poems exchanged between Yim Je and other famous poets in Namwon). It examines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standard edition through collating of the new version with previous ones. Ultimately, it considers the significance of the collection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e collection had been cited only in fragments in individual poets` collections. Its whole scale and coverage remains unknown until some poems were known in 1997 and several editions were additionally available, but there were still unsolved problems, such as typos, mistakes of the authorship, the arrangement of poems. The new edition arranges poems properly based on the convention of poetry exchange, and so it solves editorial problems. It is therefore to be regarded as a valid variant of the collection. The literary significant of the collection is situated in the growing culture of poetry exchange occurring during the 17th century. I suggests that its compilation was influenced by poetry meetings and inscriptions written for towers or pavilions. In the collection, poems were written by poets in Cheolla Province; they had Neo-Confucian perspective on literature but their poems were imaginative and inspirational. They were immersed in appreciating the beauty of landscape and waterscape, and they fully expressed their emotion. In other words, they developed poetic individuality and various sentiments even when the stern atmosphere of Neo-Confucianism prevailed. Hence, they could make a new poetic achieve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