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41.6
3.133.141.6
close menu
KCI 등재
지적 해부와 민감성 사이, 전후 현실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 -박경리의 전후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Between Intellectual Analysis and Sensitivity, Gendered Perspective about Post Korean War Period`s Reality: Centering on Park Kyongri`s Short Novels in post-Korean war period
김양선 ( Yang Sun Kim )
현대문학이론연구 47권 131-149(19pages)
UCI I410-ECN-0102-2012-800-002982233

본고는 박경리의 전후 단편소설들을 전쟁과 전후 현실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을 축조한 것으로 읽고자 한다. 첫째, 「불신시대」, 「암흑시대」, 「흑흑백백」등, 전쟁미망인이 생존을 위해 속물적 현실과 대면하면서 겪는 환멸과 자각의 과정을 그린 소설들, 둘째, 여성-청춘이 전쟁 중 가족이나 사랑하는 이의 망실로 인해 히스테리적, 우울증적 주체가 되면서 전쟁에 대한 간접화된 비판의식을 드러내는 소설들이다. 전쟁미망인의 지적 해부와 민감성``에서는 초기 단편의 전쟁미망인들이 여성 특유의 민감성으로 전후 현실을 포착하면서도 이것을 지적으로 해부하는 양면적 특성이 있다고 보았다. 지식인으로서 속물적인 전후 현실을 해부하려는 이성적 태도가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에 기인한다면, 전후 상황에 대한 우울증적 반응, 침묵과 통곡 같은 내성화된 반응은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에 기인한다. 신경증과 우울증에 걸린 여성-청춘 표상``에서는 젊은 여성들이 경험하고 기억하는 전쟁을 분석했다. 가족과 연인의 부재나 죽음이 가져온 결핍과 상실감은 심리적으로는 결벽증이나 불안, 우울증, 뒤틀린 연애에 몰입함으로써 자신을 방기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전후 사회현실에 대한 젠더화된 반응이라 할 수 있다. 위 두 계열의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여성의 시각으로 전쟁을 해부하고, 내성화된 방식으로 전후 현실과 거리를 취하고자 한다. 차이점은 전쟁미망인을 다룬 소설들이 모자가정의 현실적 어려움과 전쟁미망인에 대한 사회의 감시의 시선에 고투하고 저항하는 여성의 내면에 초점을 맞춘 데 반해, 여성-청춘을 다룬 소설들은 전쟁이라는 현실계의 위협을 낭만적 사랑으로 대체함으로써 해결하려고 하였다. 낭만적 사랑의 좌절은 전쟁의 장기적 영향력이 개인의 일상과 내면을 규율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This thesis intends to re-read Park Kyongri`s short novels in post-Korean war period as the gendered perception about Korean war and post-Korean war period`s society. First, 「Distrust Age」, 「Dark Age」, 「Black and White」presented the process of disillusionment and awakening of war widow who confronted with the snobbery reality. Second, young-unmarried women became the hysteric and melancholic subject because of absence of the family or lovers, and then showed the indirect criticism about war. In second chapter, ``the war widow`s intellectual anatomy and sensitivity``, the war widow in her early short novels, grasped the post-war reality with female sensitivity and analyzed intellectually. The rational attitude which analyzed the material post-war reality is caused by the identity as the intellectual, and then melancholic response toward post-war condition, internal response like silence or cry is caused by the identity as the woman. In third chapter, ``female-youth in the neurosis and depression``, deficiency and sense of loss caused by family`s and lover`s absence or death reveals as the anxiety, neurosis and abandonment of self through twisted love. It can be said the gendered response about reality. These two kinds of novels analysed the war as woman`s viewpoint, and see the post-war reality as internalized way. The differences are as follows. In the novels which dealt with widows, it is focused on her struggle and resistance about social surveillance and her economic difficulties. In another hands, the novels which dealt with young women intend to replace the real world`s threat with romantic love. The frustration of romantic love shows that the war`s long term effects regulate the individual`s day and inner sid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