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25.135
18.119.125.135
close menu
KCI 등재
식민지 근대의 공간과 탈식민적 크로노토프
The Space of Colonial Modern and Postcolonial Chronotope
나병철 ( Byung Chul Na )
현대문학이론연구 47권 151-177(27pages)
UCI I410-ECN-0102-2012-800-002852992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 시대에 네이션과 근대적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식민지에서는 제국이 허용하는 시공간에서는 네이션도 주체도 생성되지 못한다. 본고는 그 대신 소설에서 암시적으로 표현된 시공간(크로노토프)이 식민지인의 은유적 네이션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살펴보았다. 식민지 소설이 표현하는 시공간은 은유적인 크로노토프이다. 식민지 소설의 탈식민적 크로노토프가 은유적인 이유는 식민지에서 허용된 표상으로는 네이션이 생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유적이란 말은 결코 실제적이 아니란 뜻이 아니다. 은유적 크로노토프는 균열, 틈새, 절단된 시간 등의 실재계에 접촉한 영역에서 나타난다. 식민지인은 그곳에서 네이션의 네트워크를 생성함으로써 타자의 위치에서 주체의 위치로 전환된다. 이 식민지인의 네트워크(네이션)와 주체가 생성되는 공간은 식민지의 표상체계로는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공간이다. 그러나 식민지인들의 교섭이 이루어지는 한 그 곳은 어디서도 발견될 수 있는 공간이다. 예컨대 묘지, 아리랑, 낙동강 젖꼭지, 일인 카페의 대화적 공간 등이다. 이 은유적 시공간은 식민 권력에 예속된 공공 영역에서 벗어난 틈새의 공간을 생성한다. 따라서 은유적 크로노토프는 공공성에의 틈새적 침투, 신문의 수용적 비틀기, 일상의 이야기나 유언비어 같은 준공공 영역, 그리고 수면 밑의 하위문화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식민지에서는 그런 피식민자의 은유적 네트워크가 식민 권력의 네트워크와 경합의 장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설적 은유란 미학적인 것이지만 식민지인에게는 그 미학적 은유가 강력한 정치적 무기였던 셈이다. 이런 우리의 논의는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분법을 넘어선다. 식민지 근대화란 독자적인 시간을 강탈당한 묘지의 크로노토프와 표리를 이루고 있다. 또한 식민지는 경제적 수탈 이전에 문화와 역사를 강탈당했으며 그에 대한 대응이 은유적인 네이션이다. 은유적 네트워크는 오늘날 상당부분 인터넷으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트랜스내셔널한 연대를 위해 과거의 은유적 네트워크의 대응방식은 한 세기가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계속될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d the novels in colonial period to consider the nation in colonial space. The nation of colonized could not be represented in colonial discourse. To express the nation of colonized, people needed metaphor of literature. The novel in colonial period presented this metaphor of literature. The metaphor in novel`s discourse was represented by the chronotope of novel. And this metaphor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of colonized. Thus the chronotope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was more political than time and space which were represented in colonial discourse. Because this chronotope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and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I examined Yum Sang-sub`s novels and Hyun Jin-gun`s novel to consider the chronotope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The chronotopes of tomb, Arirang, river of Nak-dong and Japanese cafe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of colonized. they also were the network of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The chronotope of novel and the network of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are the third space in colonial period. This network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and the third space are still very important in transnational day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