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36.219
13.59.236.219
close menu
KCI 등재
여성과 힘 만주망명과 여성의 힘 -가사문학 <원별가라>,<위모□>,<신□□령>을 중심으로-
Manchurian Exile and Woman`s Power -Centering on Gasa Literature and -
고순희 ( Soon Hee Ko )
UCI I410-ECN-0102-2012-810-002944557

이 연구의 목적은 가사문학 <위모□><원별가라><신□□령>을 대상으로 하여 만주망명 경험에 의해 여성의 힘이 변화해 나간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먼저 2장부터 4장까지에서는 작품이 창작된 순서대로 <위모□>, <원별가라>, 그리고 <신□□령>을 분석했다. <위모□>는 ``남녀평등론자의 사회 참여 욕망과 힘``, <원별가라>는 ``전통여성의 정체성 변화와 힘``, 그리고 <신□□령>은 ``독립운동 지도자의 여성적 힘``이라는 측면에서 각각분석했다. 만주망명 경험을 통해 각 작가의 자아 정체성과 힘이 변화해 나간 양상에 중점을 두고 논의했다. 5장에서는 앞의 분석을 바탕으로 그 의미를 종합적으로 규명했다. 세여성은 만주망명으로 인해 사회 참여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망명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이호성과 평해 황씨가 여성은 망명 결정에 대한 태도는 다르게 나타나지만 만주망명 경험을 통해 동포사회에 참여하는 여성 지도자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변화해 나갔다. 그에 따라 두 작가의 내면에는 주도적으로 자기 삶을 살아가는 ``힘``이 형성되게 되었다. 그런데 이힘은 외부에서 그들에게 부여한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스스로 생성한 욕망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이들의 욕망인 사회적 힘은 그후 그들에게 부여되지는 않았다. 앞의 두 작가와는 달리 윤희순은 망명 후 10여 년이 지난 상황에서 사회 참여가 실현되어 지도자로서의 사회적 힘을 부여받았다. 지도자의 정체성에 몸과 밥에 관심을 기울이는 여성적정체성을 동시에 갖추어 위기를 헤쳐 나가는 강한 힘을 발휘했다. 세 가사 작품은 일제강점기에 여성 작가가 단순히 민족 현실에 분노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독립운동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내부의 힘 축적하여 발휘하는 양상도 보여준다. 특히 식민 초기에 창작된 <위모□>와 <원별가라>는 급속한 자아 정체성의 변화와 힘의 상승을 보여주어 이 시기 전통에서 근대로의 혁신이 급속한 양상으로 전개되었음을 반영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신□□령>의 경우 지도자가 될 수 있었던한 여성의 ``여성적 힘``을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nging aspects of woman`s power through the experience in Machurian exile and to inquire into its meaning targeting gasa literature such as and . First of all,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and in the chronicle order of their creat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work "Wimosa" from the aspect of an equalitarian`s desire and power for social participation; "Wonbyeolgara" from the aspect of a traditional woman`s change of identity and power, and "Shinsetaryeong"from the aspect of womanly power of a leader of independence movement respectively by putting focus on the changing aspect of each author`s self identity and power due to Manchurian exile.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a woman`s changing aspects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These three women happened to get an opportunity for social participation by virtue of their Manchurian exile. The author Lee, Ho-seong and a woman of Pyonghae-Hwang family who were in their early 20s at the time of the exil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attitude toward a woman`s decision to live in exile. However, the common point in these two women was that they changed their identity as a woman leader through the experience in Manchurian exile. Accordingly, there formed a ``force`` to lead their life initiatively in the inner side of these two authors. Nevertheless, this force was not given from the outside but autogenously formed inside. Afterwards, these two women authors weren`t endowed with the social strength they longed for from the outside after all. Unlike the two authors, Yoon, hee-sun was endowed with the social strength as a leader in the circumstances where 10 years had passed since her exile. Thus, Yoon, hee-sun displayed strong power tiding over a crisis while being simultaneously equipped with the identity of a leader and womanly identity of paying attention to the body and foo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