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82.79
13.58.82.79
close menu
KCI 등재
주요섭 초기소설에 나타난여성의 "서발터니티" 연구
The Study On the Women`s Subalternity in Joo Yo-seup`s Short-story in 1920-30`s
김학균 ( Hak Kyun Kim )
배달말 49권 147-169(23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2881990

이 글은 주요섭의 초기단편소설에 등장하는 여성들을 스피박의 ``서발턴`` 개념으로 분석하여, 이들이 민족적, 계급적, 성적으로 억압받고 있는 하층민의 성격(subalternity)을 지녔음을 논증하였다. 주요섭은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랐고, 미션스쿨을 다니면서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의 소설에서 하층민에 대한 관심을 기울인 요인으로 보인다. 또한 그의 소설에는 곳곳에서 기독교의 영향이 발견되기도 한다. 주요섭은 식민지 지배 체제로 인해 가장이 가족을 부양할 수 없거나 가족과 떨어진 상태에서 구여성들이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고통을 받는 현실을 포착한다. 식민지 현실로 인해 가장이 부재한 상황에서, 여성과 자녀들은 가난과 굶주림에 시달린다. 주요섭은 여성들을 통해 민족 모순과 계급 모순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여성들은 자녀를 잃은 고통을 모성적 생명력으로 극복하려고 시도한다. 또한 주요섭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사랑손님과 어머니」와 「아네모네 마담」은 여성들의 실패한 연애를 통해 여성의 성적인 차별을 고발한다. 이를 통해서 여성들이 성적으로 소외되어 있으며, 이는 사회적인 문제임을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주요섭의 초기 단편소설은 구여성들이 민족적, 계급적, 성적인 억압 속에서 있음을 고발하였다는 데에 그 문학적 성과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insist that the women appeared in Joo Yo-seup`s short story in 1920-30`s have the subalternity that Spivak suggests definition, and this women were suffering by national, classical and gender discrimination. Joo Yo-seup was birth in Christian family and was graduated at mission school, so he concerned on the low-class people. It is reason that Joo discribed the low-class people in his novel which is narrowed to low-class women. Joo tries to talk to Old women who cannot speak by herself which suggests definition by Spivak. In his novel, husbands or man who burdens to support his family have no choice but to leave his family and earn the money in foreign country, so the women, grand mother and children are suffering by hunger and the cold weather. Especially women experience far more suffering because they nurse their children herself and lose her children by hunger. Women are subalterns who are suffering national and classical contradictions. In later 1930`s Joo published the story about a woman who is fall in love a man at a look but simultaneously she recognizes that she cannot merry with him because she is a hooker or ugly or widow. This prove that Joo intends to show the Old-woman are discriminated by gender and the reason that she cannot merry her lover because of the society and custo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