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78.41
3.128.78.41
close menu
KCI 등재
가곡창과 시조창 노랫말의 기본 유형에 대하여
On the Basic Words Patterns of Gagokchang and Sijochang
양태순 ( Tae Soon Yang )
고전문학연구 40권 65-89(25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2872841

시조로 통칭되어온 가창 텍스트들은 그들을 얹어 부르는 음악적 형식이 가곡창과 시조창의 두 가지이기 때문에 문학적인 측면에서도 가곡창과 시조창이라는 음악적 형식에 고유한 두 가지 노랫말 유형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양자를 모두 충족시켜주는, 즉 겸용이 가능한 노랫말 유형을 추가하면 모두 세 가지 노랫말 유형이 기본적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가곡창은 5악장 형식이고 시조창은 3악장 형식이기에 그 노랫말도 자연 그에 걸맞는 방식으로 짜여질 것이다. 양자 사이의 변별적 양상에 유의하면서 가곡창 노랫말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조창의 노랫말이 3행으로 표기되는데 비해 가곡창은 5행으로 표기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시조창의 노랫말은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인데 비해 가곡창은 초장과 2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초장의 전반부와 후반부)이 병렬관계라는 사실이다. 세 번째로 가곡창의 3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중장)은 초장과 2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초장)을 합친 것과는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물론 시조창의 경우는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이므로 같다. 가곡창 노랫말 3장의 이러한 특성은 율격적으로 4음보가 아닌 3음보에 근사한 모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음수율로 보자면 보통의 형식인 ``3-4-3-4``이 아니라 ``5-3-4``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의미 구조로 보았을 때 3장은 전반부와 후반부가 병렬관계를 유지하지 않으며, 그래서 적확하게 양분이 가능하지 못한 것이다. 결국 율격적으로 3음보, 의미상으로는 대등한 양분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가곡창 노랫말 3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중장)의 특성이라 하겠다.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를 유지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중장이 3음보에 근사하거나 의미상으로 온전한 양분이 불가한 양상을 보이는 것들도 있는데 이들은 시조창과 가곡창을 겸용하는 노랫말 유형에 속하는 것들이라 하겠다. 가곡창을 위한 노랫말 모음집인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 3대 가집과 시조창을 위한 노랫말 모음집인 『남훈태평가』를 보면 이 세가지 노랫말 유형이 혼재해 있음을 본다. 이로써 가창이라는 연행의 실제에서는 이들이 서로 넘나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이 둘, 혹은 세 가지 유형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이 약화되는 것은 아니다. 가곡창에 적합한 노랫말 유형과 시조창에 적합한 노랫말 유형이 어떠한 것인가는 당대인들도 인지하고 있었다. 동일한 노랫말이 가곡창과 시조창에 적합하도록 변개된 양상을 통해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jo is not only the reading text but also the singing text. There are two patterns of musical piece-Sijochang(時調唱) and Gagokchang(歌曲唱)-in singing Sijo, so we can expect there would be two patterns of reading text. In addition to them, we can add one which combines two patter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wo patterns are as follows. Above all, the words of Sijochang has three lines, but the words of Gagokchang has five lines, because Sijochang has three movements of music, but Gagokchang has five movements. In the second place, the Chojang(初章) and the Jungjang(中章) of Sijochang, the first chapter(初章) and the second chapter(二章) of Gagokchang have parallel relationship. Lastly, the third chapter of Gagokchang should be different from sum of the first and second chapter, but Jungjang(中章) of Sijochang is same with the Chojang(初章). In terms of mertric aspect, the former has 3 meter ``5-3-4``, but the latter has 4 meter ``3-4-3-4`` like as the Chojang(初章). To say otherwise, by the view of morphology and semantics, the third chapter of Gagokchang would not be divided equally in two part, whereas the Jungjang(中章) of Sijochang is divided. We can find these three patterns in Samdaegajip(for Gagokchang) and 『Namhuntaepyeongga』(for Sijochang). In the real world of singing, they used these altogether. But an inquiry of the two or three patterns about it`s necessity is not weakening. They recognized which pattern is appropriate for Sijochang(時調唱) or Gagokchang(歌曲唱). Through this article I try to revea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patter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