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9.180.76
18.189.180.76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
Student`s Perception of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장은섭 ( Eun Seob Jang )
청람어문교육 44권 331-360(30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2944241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을 그림과 글짓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2010년 11월 수능을 치룬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수능을 마치고 난 후 느낌과 생각을 그림으로 그리고 이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써보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반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express emotion), 학생들의 은유·상징(metaphor of student), 1회 평가·시험환경(culture of testing), 분노(anger, fire), 힘·권력·사회문제(power, politics), 시험거부·자포자기(rejection of testing), 평가가 필요함·성취감(sense of accomplishment), 쉬운·홀 가분한(easy), 주위와의 관계(relationship)의 9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특히 전체 사례 수 가운데 가장 높은 빈도 76.6%에 이르는 ``감정표현’ 부분은 따로 세분화하여 허무함, 부담·스트레스, 절망·두려움, 슬픔, 긴장, 짜증·화가 남, 힘겨움, 감정변화, 평온함, 무관심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수능에 대한 학생들의 긴장감, 스트레스, 분노, 격리감 등 부정적 정서의 민감성 측면을 지적하고 평가의 부정성들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시험 문화 개선과 한 번의 수능 시험에 따른 결과로 결정되는 진학의 평가 제도에 대해, 교육당국 그리고 일선 학교로부터 질적·양적 평가의 고른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변화를 촉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Researchers have studied demands of all walks of life in this society for KSAT`s change, and have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main stream. in November of 2010, after students completed their KSAT, 205 students were asked to draw or write their thoughts or feelings about the test. Nine categories were constructed from the themes in students drawing and written description:Express emotion, Metaphor of student, Culture of testing, Anger/Fire, Power/Politics, Rejection of testing, Sense of accomplishment, Easy, and Relationship. Each of these categories classified and analysed was thoroughly supported by drawings and writings of the students about KSAT. Researchers in this study pointed out the sensitivity of negative emotions such as nervous, stressful, angry, isolated. They also emphasized the need to improve testing culture and evaluation system of college admission, and to provide students more opportunity to be evalu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y educational authorities and schoo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