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31.168
3.133.131.168
close menu
KCI 등재
문학 경험의 형성 과정에 나타난 독자 경험의 연관 유형 연구 -초등학생의 동화 읽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terns of Related Child-readers` Experience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Literary Experience -focused on reading children`s litera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하근희 ( Geun Hee Ha )
청람어문교육 44권 493-524(32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2939137

본고는 문학 경험의 형성 과정에서 독자의 경험이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살핌으로써, 문학 경험 교육의 기초를 다지고자 하였다. 먼저 문학 경험을 독자가 문학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혹은 읽은 후에 실제 경험한 것만큼 생생하게 겪는 교육적 경험으로 정의하였다. 이때 독자 경험이 그 질료가 된다. 이후 초등학생 독자들이 읽고 쓴 감상문 분석을 통하여 문학 경험의 형성 과정에 나타난 독자 경험의 연관 유형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텍스트의 어떠한 부분에 독자가 관심을 기울여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유형을 크게 표면적 소재 주의형, 유사 정서 환기형, 소재 의미 유추형, 주제-독자 경험 비교형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독자 경험의 연관 유형을 독자 경험의 부재(不在)형, 단형(單形) 경험 연관형, 복합 경험 연관형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경험을 연관짓지 못하는 독자보다 경험을 연관 짓는 독자가 질 높은 문학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기는 하나, 연관된 독자 경험이 텍스트 내용에 비추어 점검받지 못한다면,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문학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esent the patterns of related child-reader`s experience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literary experience. Literary experience is educational experience that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literary texts, or after reading as much as the actual experience. At this time, readers` experiences is the substance of literary experience. And analy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port. First, the reader pay attention to any part of the text itself by reminding of the experiences examined. The patterns of attention are composed up caution in the surface, aroused to similar emotions, inferring meaning in the subject matter, comparing subject and reader`s experiences. And the patterns of related child-reader`s experience are lack of experience, association with only one type of experience, association with complex of experiences. Literary experience can be more desirable based on readers experience supported by the text. supported by the 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