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84.237
18.118.184.237
close menu
KCI 등재
교과서를 통해 본 디지털 시대 문학 교육의 현재성 연구
A Study on the Presence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Textbook in the Digital Age
엄해영 ( Hae Young Um ) , 김대희 ( Dae Hee Kim )
청람어문교육 44권 525-548(24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2872222

이 연구는 디지털 문화 시대의 문학 환경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디지털 문학 교육의 수용 양상을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문학의 소통은 주로 매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매체를 통한 문학 소통의 관점에서 볼 때 매체의 발달과 변화는 문학 소통의 방식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은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여 문학 교육 내 매체 언어를 통한 소통을 필수 교육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문학 교육과정의 투영물인 문학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양상으로 매체문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텍스트를 구성하는 언어 형식의 변화, 매체의 변화에 따른 텍스트의 내용적·구조적 변화, 다른 매체 콘텐츠와의 상호텍스트성 강조, 문학 소통 매체의 전환 등이 그것이다. 상호텍스트성 강조, 문학 소통 매체의 전환 등이 그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digitalized literature education on focusing Korean text books by considering changes of literature environment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digital age. The communication of literature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media. From a literary communication through the media, the developments and changes of media lead to many changes of literary communication method. The revised curriculum has set media language education as a essential contents as a method for accepting the status quo. The literature text book which is projection of literature curriculum includes the various approaches of media literature. These are the change of language formation, the change of elements and structures, the emphasis of intertextuality, and the conversion of communication medi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