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36.192
18.116.36.192
close menu
KCI 등재
학교 상호문화교육과 교사의 역량
Interkulturelle Erziehung und Bildung in der Schule und die dafur erforderlichen Lehrerkompetenzen
정영근 ( Young Kun Chong )
UCI I410-ECN-0102-2012-370-00298958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지구화와 더불어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과 국가가 서로 연결되고 있다. 또 사회가 다문화화 되어감에 따라 언어와 문화가 다른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서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한 교육의 변화가 요청된다. 새로운 의미 맥락을 지닌 일반 교육적 성격의 변화된 교육이란 다름 아닌 상호문화교육으로서 동화가 아닌 통합을 목표로 한다. 어린이들에게 상호문화교육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는 학교로서 학교는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수업의 기회를 균등하게 지원받으며 상호문화 역량을 획득해야 하는 상호문화적 배움의 장이다. 학교의 상호문화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학교 조직의 틀과 교육학의 전체적 구상이 이에 적합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사의 직업적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다문화사회에 적합하며 상호문화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양성과정이 변화되어야 한다. 개혁된 양성교육을 통해 교사는 문화적 다양함을 구성적으로 대하는 능력과 거기서 나오는 교육학적 행위능력을 길러야 하며, 또한 교과수업에서 상호문화적인 배움을 선도하고 숙고하게 하는 교과교수 방법적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시해야 할 점은 교사들이 현 사회의 다수집단이 지니고 있는 편견을 의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또 그러한 편견에 대해 교육학적으로 대응하려는 의지를 성장시키는 일이다. 전 지구적으로 연결되어 교류하는 세상에서 미래 한국의 사회·문화·경제적 발전은 전적으로 학교의 상호문화교육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달려있다. 따라서 지금은 우리가 학교 상호문화교육이 지닌 역할과 의미를 올바로 인정하고 실천해야 할 절호의 시기이다.

Aus erziehungswissenschaftlicher Sicht bewirkt Globalisierung einen Wandel in der semantischen Bedeutung von Nationalstaaten und Bildungsinstitutionen. So ist die Schule ein Ort eines interkul- turellen Lernens geworden. "Interkulturelle Erziehung und Bildung" in der Schule verlangt die Ver- mittlung eines multiperspektivischen Denkens und die Hinfuhrung zum personlichen Handeln in globaler Perspektive. Fur sie sind zwei Ansatze, ``interkulturelle Erziehung und Bildung als soziales Lernen`` und ``als Aufbau interkultureller Handlungskompetenzen``, besonders relevant. Die Schulen in der multikulturellen Gesellschaft, in denen verschiedene Herkunftslander und Sprachen vertreten sind, fordern von LehrerInnen zusatzliche interkulturelle Kompetenzen. Um fur di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passende und zur interkulturellen Bildung und Erziehung fahige LehrerInnen ausbilden zu konnen, brauchen wir eine Reform des LehrerInnenbildungsgangs. Von entscheidender Wichtigkeit fur interkulturelle LehrerInnenbildung ist jedoch zum einen die Sensibilisierung fur vorhandene Vorurteile bei der Mehrheit der Gesellschaft, zum anderen die Entwicklung der Bereitschaft, sie padagogisch zu entkraften. Am Ende des Aufsatzes werden die fur die interkulturelle Erziehung erforderlichen Lehrerkompetenzen in Bezug auf die koreanische Schule erorter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