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0.34
3.21.100.34
close menu
KCI 등재
토론 대회와 토론 지도 ; 교육적 기능을 고려한 토론 유형 선택의 변수
The Variables in Selecting the Type of Debate with the Consideration of its Educational Function
박재현 ( Jae Hyun Park )
화법연구 19권 47-79(33pages)
UCI I410-ECN-0102-2012-800-002929087

지금껏 화법 교육에서는 토론의 유형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 없이 특정 유형을 도입하여 소개하는 데 그쳤다. 학습자의 요구나 수준에 대한 고려 없이 특정 토론 유형의 절차와 형식을 소개하고 단계별 전략을 제시하는 교육으로는 토론의 유형별 특징과 장점을 온전히 살리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토론 수업이나 토론 대회에서 지향하는 교육적 기능에 부합하는 최적의 토론 유형을 선택하는 데 필요한 판단의 변수들을 고찰하였다. 우선 기존 연구들을 통해 토론의 교육적 기능을 확인한 후 대표적인 토론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사고력과 관련된 변수로는 ``논제의 성격``, ``입증 책임의 균형성``을, 의사소통 방식과 관련된 변수로는 ``발언 방식``, ``논제 공개 방식``, ``발화 속도``를, 상호작용과 관련된 변수로는 ``교차 질문 방식``과 ``참여자 수``라는 변수를 설정하여 해당 변수마다 토론 유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상세하게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철저한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해결책의 실현 가능성까지 논의하는 정책 토론의 경우 토론을 준비하며 진행되는 연구 과정이나 발언의 방식과 발화 속도 면에서 초중등 학생보다는 학업과 직무 영역에서 전문 역량을 길러야 하는 대학생에게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깊은 철학적 사유를 중시할 경우는 링컨 더글라스 토론을, 연설 능력을 중시할 경우는 의회식 토론이나 공공 포럼 토론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인에 대한 설득적 전달 능력이 중시되는 공공 포럼 토론은 초중등 화법 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speech training so far without in-depth considering about the type of debate just brought a specific type in and introduced it. The training which introduces the procedures and formats of specific types of debate and offers step-by-step strategies without regard to student` needs and levels has limitations in fully implementing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each type of the debate. In this study, based on awareness of these issues, were examined the variables of determination required to select the optimal type of debate that meets the educational functions at which the debate class or competitions aimed. First of all, after making sure of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debate through existing researches I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types of debate. I set ``nature of propositions`` and ``the balance of the burden of proof`` a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thinking ability, ``speech style``, ``the presentation way of proposition``, ``the speech rate of debate`` as the communication-related variables, and ``the way of cross examination``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as the interaction variables. And then I discussed with others in detail how the types of debate differ for each variable. In the case of policy debate where even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solution is discussed, based on a thorough study of materials and research results, it is appeared to be suitable for college students rather tha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research process, debate way and the speech rate, because the college students must bring up the specialized competence in the area of research and career.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if a deep philosophical reason is focused, Lincoln-Douglas debate would be good for the use, while the public speaking skills is focused, parliamentary debate or public forum debate had to be suitable. In particular,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public forum debate where the persuasive ability to deliver an issue to the general public may be a new alternative for a primary and secondary public education in spee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