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63.136
3.145.63.136
close menu
KCI 등재
토론 대회와 토론 지도 ; 토론 중심 고교 화법 교육 개선 방안 연구
Present Condition of Speech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Solution StudyAb
이남주 ( Nam Joo Lee )
화법연구 19권 111-144(34pages)
UCI I410-ECN-0102-2012-800-002929183

교육과정의 개정이 거듭될수록 화법의 영역은 위축되고 있으며, 특히 고교 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이 제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적인 위축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논쟁에 국한되어 있는 내용 선택에서의 적절성과 관련한 것이다. ``논쟁``은 토의나 협상에 비해 교육의 장에서 다루기에 부족한 점이 많으며, 본고에서는 이를 6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첫째 논쟁은 이해와 설득을 중시한 결과 배려와 공감에 기초한 화해와 상생의 정신과 거리가 있으며, 둘째 찬·반 중 하나를 반드시 선택토록 함으로써 다른 선택의 가능성이 배제되어 있고, 셋째 일정한 토론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한 고교생들에게 적용상의 어려움뿐 아니라 효과 또한 미흡할 가능성이 많고, 넷째 모든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기 어려워 ``실제``를 중시하는 교육과정과도 맞지 않고, 다섯째 범교과적 교실 수업 개선에 기여하는 정도가 낮으며, 여섯째 실생활에서의 효용도가 낮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화법이 지닌 여러 성격 중 본고가 중시한 것은 상호교섭성과 관계성이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논쟁을 대체할 담화 영역으로 토의와 협상을 제시하였으며, 이 때 핵심적인 요소는 학생들의 직접적인 활동을 중시하면서 지식과 기능 그리고 태도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런 관점의 교수-학습의 실제를 보이기 위하여 토의와 협상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화법 교육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되어야 할 담화 유형은, 바람직한 미래의 인재상에 부합하면서 배려와 협력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삶에 활용 가능한 지평이 넓으면서 공공의 이해를 우선한 것이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도 논쟁 중심의 화법 교육은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과 공동의 이익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는 토의와 협상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한다.

Whenever revision of curriculum is repeated, domain of speech is contracted and especially in a course of high school study, elective courses are going adrift. Matters on propriety for selecting contents that is limited within dispute are more serious than contraction of quantity. Debate has far more defects to be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compared with discussion or consultation and this thesis summarizes them in six points. First, debate is distant from spirit of reconciliation and interrelationship based on consideration and sympathy as a result of concentrating on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Second, forcing students to choose either pro position or counter position, it makes other possibilities of selection excluded. Third, it has difficulties in being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who lack discussion skills and the effect on them is also trivial. Fourth, it is hard for all the students to experience directly and it is not fit for the curriculum focusing on ``practice experience``. Fifth, it contributes little to the improvement of cross-subject classes. Sixth, this thesis emphasizes on the fact that it has little efficiency in everyday life. Among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peech, this thesis focuses on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In this perspective, the thesis suggests discussion and consultation as a replaceable dialog domain and it emphasizes integration of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highlighting practice experience of students as a core. To demonstrate the re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 the thesis suggests a model of discussion and consultation. The type of dialog which should be selected as a top priority in speech education has to meet the needs of going together with potential leaderships, respecting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being applied to learner`s everyday life in a broad range and considering the benefit of the public as a top priority. In this regard, debate-oriented speech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to discussion and consultation-oriented paradigm whose purpose is problem solving through cooperation and aiming at public interes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