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6.69
3.21.106.69
close menu
KCI 등재
토론 기반 말하기 학습에 대한 연구 -대학생의 설득적 말하기 수업을 대상으로-
A Study on Debate Based Speaking Learning -In a Persuasive Speaking Class for Undergrates-
서승아 ( Seung Ah Seo )
화법연구 19권 297-323(27pages)
UCI I410-ECN-0102-2012-800-002852987

이 연구의 목적은 설득적 말하기 유형 일반을 학습할 때 토론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밝히는 것이다. 사람들은 대개 토론이 경쟁적인 의사소통 행위로서 대립된 입장들을 와해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을 거라 예측하고 쉽게 피하지만, 설득적 말하기 능력을 함양하는 데 이만큼 재미있는 활동도 없을 것이다. 더욱이 과학기술이 발달하여 편의성 못지않게 다양성이 강조되는 요즘, 말하기 능력의 유창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은 시시때때로 변하는 생활필수품들을 사용하면서 낯익은 무늬나 형태에 곧 싫증을 내게 되므로 말할 때에도 듣는 이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메시지를 구성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말하기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의 조직 측면에서 세심한 배려가 드러나야 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목적을 가지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표현 관련 교양 수업에서 실험을 해 보았다. 수강생 전원을 대상으로 토론을 먼저 하고, 곧이어 팀별 발표를 하는 순서로 강좌를 계획하였다. 토론의 논제는 학생들의 합의로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그들이 토론의 주체가 됨을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발표에 있어서는 팀별로 공통된 주제를 정하되 팀 구성원 각자의 몫을 분명히 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형식을 다양하게 제공하였는데, 그 발표 형식은 학술 보고서, 시나리오, 제작 콘티, 동영상이나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네 가지이다. 물론 사전에 팀별로 공통된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기획안을 작성하게 하고 주제의식이나 구성 방식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몫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토론과 발표를 경험하면서 가장 눈에 띄게 말하기 능력이 향상된 경우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필자는 먼저, 토론에서 가장 많이 발언하였지만 말더듬이 심한 참여자가 토론 중 또는 발표 중에 질의·응답 과정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처음에 자기소개 말고 주제 토론이나 발표에서 자료를 읽었다가 질의·응답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표하게 된 과정을 보았다. 또 토론에서는 참여하지 못했는데 발표를 통해 말할 내용을 인식하고 자신감을 찾은 경우도 보았다. 한편 이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준 참여자에게서 교육적 대안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토론은 개인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말하는 방법을 역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해 주는 창(窓)의 기능을 한다. 학생들은 서로 경쟁적 말하기를 경험해 봄으로써 상황에 따른 설득 방법을 학습하게 되고, 국어과 교육과정의 설득적 말하기 유형을 종합적으로 접하는 것은 물론 실제 상황에서 필요한 전략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at students can study persuasive speaking types effectively by Debate Based Speaking Learning. Everyone escaped from debate ordinarily because the speech act caused a quarrel among others and is hard to solve troubles in debate situation, but the act is an interesting and dynamic communication. In addition, researchers pay attention to proficiency result from diversity of multimedia an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in nowadays. Speakers must be careful to construct contents logically as well as form for listeners. Researcher tried to confirm relevance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expression class for ungraduates. At first, they are immersed in debate and then began a discussion for a subject classfied by teams. They decided on common issue for attending the debate. And then, they accepted to researcher`s need that they prepare one`s share for making united efforts; writing academic paper, scenario, continuity and producing moving image(or presentation). These are things filled with one`s expression competence in various genre based on creativity. Of course, researcher checked their plan making a shape before working.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five types were drawn from the total group works. Those are divided two category; one is negative meaning included stammering, reading materials, silence and anxiety, the other is affirmative meaning same as description. Speaking experiences by Debate have a good effect on growing communicative competence. Because academic debate is an interesting speaking that many students can approach actively and learn a principal of logical speaking called Argumentation. If all students learn argumentative strategies sometimes in classes, they think of manner for listeners` and may speak well as selecting the best type of persuasive speaking in general in individual cas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