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36.192
18.116.36.192
close menu
KCI 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수립 방향 탐색
A Study on Policy Making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on
윤광보 ( Kwang Bo Yoon )
지적장애연구 13권 4호 109-139(31pages)
UCI I410-ECN-0102-2012-370-002938041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수립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형성 과정의 타당성,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원 체제의 타당성,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의 성격과 구조의 적합성 등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특정 대학 및 기관에 위탁하지 않고 공중의 대표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전문가 및 교원들을 중심으로 "특수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를 구성하여 상시적인 특수교육과정 개선 연구를 실행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교육과정 체제와 관련하여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일반교육과정을 모든 학생의 요구에 반응 할 수 있는 통합교육과정으로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과정의 이원 체제를 유지하되, 일반교육과정은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교육과정 보조문서로 제공하고, 특수교육과정은 장애학생의 접근과 학습이 가능하도록 장애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성격과 관련하여 공통교육과정은 일반교육과정에 토대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필수 기본내용과 수정·보완 내용을 병행 제시하고, 기본교육과정은 일반교육과정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교육과정과는 차별적인 기능적 교육과정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blems in the validity of policy making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validity of dual systems between general curriculum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roperties of common curriculum and basic curriculum and their structural suitabilities in order to seek for proper policy making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Improvements, this study presents, are as follows. Firstly, regular research on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experts and teachers who don`t refer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o particular universities or organizations and are able to guarantee representativeness of the public, by organizing ``A Research Committee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Secondly, in relation to the curriculum system, an integrated curriculum to deal with the demand of every student, needs to be developed from a long-term viewpoint. However, realistically, a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s subsidiary documents of curriculum for organizing and manag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have to be sufficiently reflected to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o handicapped students approach and learn it easily, maintaining dual systems between general curriculum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rdly, common curriculum has to include essential contents and revisions and supplements for handicapped students, based on general curriculum, and basic curriculum has to be organized with functional curriculum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general curriculum, not excluding general curriculum, complete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