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93.209
18.226.93.209
close menu
KCI 등재
직업 적응중심의 교양영어 수업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ultural English Class based on Internal Factors of Vocational Adaptation on Vocational Readiness for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김대룡 ( Dae Ryong Kim ) , 신현기 ( Hyun Ki Shin )
지적장애연구 14권 1호 75-102(28pages)
UCI I410-ECN-0102-2012-370-003229434

이 연구는 ``직업적응 중심의 교양영어 수업``이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기술, 대인관계기술,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지방의 4년제 N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 45명으로, 이들 중 20명은 발달장애학생만으로 구성된 비통합학과이고, 나머지 25명은 일반학과에 통합되어 있는 통합학과의 학생이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23명과 비교집단 22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중재는 대학교양 영어교과 수업시간에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 분석, 사전·사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적응 중심의 교양영어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진로태도, 자기결정기술, 대인관계기술, 사회성기술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일반학과에 통합된 학생과 비통합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간 ``직업적응 중심의 교양영어 수업``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비통합학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이 진로태도와 사회성기술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직업선택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적응중심의 교육은 진로태도, 자기결정기술, 대인관계기술, 사회성기술을 촉진시켜 결국 발달장애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ural English class based on internal factors of vocational adaptation on vocational readiness for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45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 university, who consisted of 20 students in non-inclusive environment and 25 students in inclusive environment.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o inspect any change i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s, self-determination skills, social interpersonal skills, sociability skills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mprovement o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s, self-determination skills, human relation skills, sociability skill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Second, The improvement o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s, sociability skill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non-inclusive environment than in inclusive environment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skills, social interpersonal skills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