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185.123
3.140.185.123
close menu
KCI 등재
식민지시대 김옥균의 문화적 재현과 그 의미 -민지시대 김옥균의 극적 재현방식을 중심으로-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Kim Ok-gyun in Colonial Korea and it`s Meanings
이상우 ( Sang-woo Lee )
한민족어문학 58권 327-366(40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3311238

문화텍스트에서 역사 인물의 재현은 한마디로 기억담론 투쟁 행위에 다름 아니다. 그 문화텍스트들에는 역사 인물에 대한 서술 주체의 각기 다른 기억 욕망이 존재하며, 그 문화텍스트를 담는 미디어/정치/자본의 기억 욕망, 당대 정치권력의 기억 욕망, 그리고 대중들의 기억 욕망 등이 서로 욕망의 경합(contest)을 벌여서 특정한 기억이 구성된다. 이 글에서는 식민지시대 문화텍스트에 나타난 김옥균에 대한 기억 욕망과 재현방식들을 아시아주의의 전유, 민족주의 및 대중 미디어의 전유, 군국주의의 전유라는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규명해보았다. 첫째, 아시아주의에 의한 김옥균의 전유. 이는 일본의 현양사, 흑룡회 계열 아시아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한국 아시아주의자에 의한 김옥균의 추앙 및 재현 양상을 의미한다.김옥균 전기를 쓴 민태원, 김옥균에 관한 야담과 희곡 <대무대의 붕괴>를 쓴 김진구가 그 대표적 사례에 속한다. 이들의 재현 행위에는 김옥균에 대한 추앙, 영웅화에 강한집착을 보인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고균회``라는 김옥균 추앙단체를 만든 것이 그 단적인 증거다. 이들의 김옥균 재현 욕망에는 김옥균에 대한 개인적 숭배가 깊이 작용하였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숭배, 추앙 행위는 민족주의적 욕망으로 비쳐질 수 있었기에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제국 일본으로의 편입 욕망을 김옥균이라는 매개에서 찾았다는 사실이 크게 작용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민족주의, 혹은 대중 미디어에 의한 김옥균의 전유. 1930년대 신문, 잡지, 유성기음반, 영화, 대중극 등 대중 미디어에서 김옥균은 빈번하게 재현되었다. 여기에는 혁명과 좌절, 망명과 암살이라는 김옥균 서사가 본질적으로 극적 요소를 함축하고 있는데다가 실패한 개혁과 혁명이 망국을 불러왔다는 안타까움과 설움을 동반하는 것이기에 민족서사로서 기능할 여지가 충분했다. 동아일보에 연재된 김기진의 소설 <청년 김옥균>, 나운규의 영화 <개화당이문>, 유성기 음반 <김옥균전>, 극단 아랑의 연극 <김옥균>, 청춘좌의 연극 <김옥균전> 등이 그러한 것이다. 1930년대의 김옥균 서사는 단순한 이념지향의 재현 욕망에서 벗어나 대중적 소비를 위한 재현 욕망으로 전화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 시기 김옥균 서사의 유통, 소비는 표면적으로는 민족주의적 재현 욕망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미디어 자본의 상업적 지배를 받고 있었다는 점에 변별성이 있다. 셋째, 군국주의의 전유. 일제 말기가 되면 김옥균은 군국주의에 의해 재소환 된다. 그가주창한 삼화주의는 대동아공영권 담론과 반서양주의라는 군국주의 정치 이데올로기와 잘 맞아떨어지는 유용한 소재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군국주의에 의한 김옥균의 재전유에 의해 김옥균은 대동아공영권 이념과 내선일체의 선구적 사상가로 변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리한 재전유에는 역작용을 수반하기 마련이어서 김옥균을 대동아공영권 담론에 포획하려고 하면 할수록 일본의 배신과 불신에 의한 혁명의 좌절이라는 내적균열이 강조되게 된다. 조용만의 소설 <배 안에서>와 박영호의 희곡 <김옥균의 사>에는 모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물론 이들의 김옥균 재현 욕망의 근저에 제국 일본에의 통합 욕망이 자리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러한 식민지 지식인이 갖는 제국적주체로의 욕망은 내적 분열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한 내적 분열에 의해 이들의 작품에는 식민주의에 대한 내파가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tudy the aspects of cultural representation of Kim Ok-gyun, who was a famous modernizing reformer in late Chosun dynasty, in colonial Korea era and it`s politics of memory, which revealed in the representations. The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character in the cultural texts are certain to be the political contest field, which the diverse memories struggle. Therefore, The memories of the historical character in the cultural text constructs the specific memory about the character after contesting of the diverse memory desires, such as the creative writer`s memory desire, the consumer`s desire, the social and cultural power`s desire. So, the politics of memory is very important issue for examining the meanings of historical literature, theatre, films, and so on. In this essay, I am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aspects of the creative writer`s appropriation about Kim Ok-gyun in their each works in colonial Korea. This essay argues that there were three aspects of appropriation about Kim Ok-gyun in colonial Korea. First, Korean Pan-Asianist`s appropriation about Kim Ok-gyun. They were affected by Japanese Pan-Asianists, such as the intellectual members of Hyunyangsa(현양사) and Heukryonghoi(흑룡회), they were willing to write about Kim Ok-gyun because of deeply adoring him. So, many Korean people at that time misunderstood that the writers wanted to express the nationalist sense when the writers represented about Kim Ok-gyun. Second, Korean nationalist intellectuals and mass media`s appropriation about Kim Ok-gyun. The newspapers, such as "Dong-a Ilbo"(동아일보), the magazines, as like "Byulgungon"(별건곤), "Samcholli"(삼천리), the films, the voiced phonograph records, the popular theatres competitively represented Kim Ok-gyun in 1930`s, as the narrative of Kim Ok-gyun itself could be a very dramatic and national narrative. At that time, many Korean people regarded the narrative of Kim Ok-gyun as symbol of ruined people. Third, militarist`s appropriation about Kim Ok-gyun. In early 1940`s, Kim Ok-gyun`s narrative were recalled by Japanese militarism, because Kim Ok-gyun`s political idea, which argued the peace and harmony between Korea and Japan, China, was very similar to the Great East Asianism of Japan. So, colonial militarist writers re-adored Kim Ok-gyun for using his idea to identification discourse with Japan. They wanted to make use Kim Ok-gyun`s narrative for entering theirself to Japanese subje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