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107.241
3.139.107.241
close menu
KCI 등재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3) 고려(高麗) 산문(散文)의 미의식(美意識)
Aesthetic consciousness of Goryeoprose
원주용 ( Ju Yong Won )
동방한문학 50권 7-35(29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3202758

이 글은 韓國散文文學에 대한 관심 속에서 韓國漢文學의 미학적 접근의 一環으로 작성된 것으로, 무신란 이전까지를 전기, 무신란을 전후한 시기를 중기, 무신란 이후 고려의 멸망까지를 후기로 나누어 고려 산문의 美意識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고려 전기는 羅末의 문풍을 그대로 이어받다가, 광종의 科擧制度, 성종의 崇文政策, 예종과 인종 등 好文主 등의 요인으로 내용보다는 꾸밈에 치중하여 화려함을 보여주는 纖麗美가 뛰어났다. 엄격한 4?6의 字數와 對偶의 구사, 平仄의 강구, 비현실적 이야기 등으로 이루어진 政敎的?儀禮的인 글에서 綺麗美를 발견할 수 있으며, 記文 중에는 李預의 「三角山重修僧伽굴記」가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고려 전기 纖麗가 지나쳐 唯美的 形式主義로 치닫자, 騈儷文에 대한 폐단을 비판하고 古文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고려 전기 문벌귀족의 몰락과 고려 중기 新進士人의 등장으로 무신란 전후에 이르면 이전에 일기 시작한 古文에 대한 바람이 거세지고, 古文家들도 散文史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고려 중기는 화려한 纖麗美가 아니라 꾸밈없이 작자의 생각을 평이하게 전달하는 質朴美를 추구하게 된 것이다. 林椿?李奎報 등의 작가에게서 이러한 경향을 읽을 수 있다. 고려 후기 新興士大夫은 지방 중소 지주로서 그리고 일부 신진 관료로서 자기네의 정치적?사회적 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장원주이며 중앙 권력층인 世臣巨室들과의 이해의 대립에서 승리의 방향을 쟁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래서 새로운 이데올로기로서 性理學을 강력히 내세웠다. 性理에 대한 공부가 깊어지면서 精緻한 논리를 전개하다 보니, 고려 후기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내면적으로 미세한 것을 분석하여 치밀하게 논의를 전개하는 精密한 글쓰기가 이루어진 것이다. 李穡을 비롯해 權近, 李崇仁 등의 글에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The text, written for aesthetic approach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n attention of Korean prose literature, considers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prose classifying chronologically:The former period, before Musin-nan and the middle period, before-and after-Musin-nan and the latter part, after Musin-nan. After directly inheriting the style of a writing of the late Silla, the former period was remarkable in Sumryeo-mi, which shown the extravagance focusing on rather a fancy and florid style than contents because of a few factors such as Gwang-jong`s Gwageojedo and Seong-jong`s Sungmun-jeong chaek. Because esthetic formalism was getting extreme resulting from excessive Sumryeo in the former period, Gomun began to attrac tinterest with criticizing negative effect on Byeong-ryeomun. The wind of wish forpre-existing Gomun had had blown stronger and Gomunga started to advent in the history of prose resulting from both the collapse of aristocrat in the former period and the appearance of Sinjinsain in the middle period. In the middle period, Jilbakmi, which plainly conveys the idea of writer, was pursued rather than the florid Sumryeo-mi. For improvement of political and social power, Sinheung-sadaebu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truly needed to achieve victory in conflict with the Sesin-geosil who was master of Dejang-won and the central authority. Therefore, they strongly advocated Seongli-hak asnewideology. As fine and elaborate logical argument with deeper study on Seongli was setting out, the detailed writing, which analyses fine matter internally and was unprecedented before the latter part, was accomplish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