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142.146
18.188.142.146
close menu
KCI 등재
누가 어떤 정부정책을 선호하는가? 보수와 진보의 이념가치인가?
Who Support Which Government Policy?: Ideological Conservatism or Progressivism?
황윤원 ( Yun-Won Hwang ) , 신중호 ( Joongho Shin ) , 박희봉 ( Hee-Bong Park )
UCI I410-ECN-0102-2012-350-003226748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가치관을 보수와 진보로 나누고, 또한 보수와 진보의 가치관이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보수와 진보가 정책선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 어떤 가치가 정책선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양한 개인의 가치관이 정책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개인의 사회적 배경은 가치관과 정책선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보수가치는 위계가치와 전통가족가치와 관련성이 높고, 물질-탈물질주의가치와는 관련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보수가치는 자유경제가치, 경제성장가치, 사회질서 가치와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진보가치는 전통가치와는 관련성이 낮고, 정책참여가치와 관련성이 높았다. 그리고 진보가치는 사회경제가치, 복지지향가치, 약자존중가치와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자 스스로 판단하는 보수와 진보가치는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자신이 보수적, 또는 진보적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자체진단이 잘못되었거나 한국인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보수주의 또는 진보주의로 구분하던 것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경제에 관한 가치관의 차이가 정책선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는 일관성을 보이는 측면이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인의 가치관을 자유시장가치와 사회평등가치, 즉 경제적 우파와 좌파로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또한 전통가치와 물질-탈물질가치가 자유시장가치 및 사회평등가치와 서로 혼합되어 있었다. 한국인의 가치가 다양화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some researcher's findings that ideological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have an influence on government policy preference. It argues that Korean’s policy preference is influenced by various individual’s values rather than political ideology. For this research, 1,000 surveys are used for data in Seoul, Busan, Gwangju, and Daejeon in Korea. This research findings include that ① ideological conservatism is highly related to hierarchical value and traditional family value, but not related to material and non-material value, ② ideological progressivism is not related to traditional value, but related to policy participation value, ③ ideological conservatism is related to free market value, economic development value, and social order value, ④ ideological progressivism is related to social economy value, welfare value, and disadvantaged preference value. However, self-expressed political ideology doesn’t impact on government policy preferences. On the other hand, various values have an influence on various government policy preferences. It means that Korean political ideology is more diversified.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분석 틀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