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47.221
3.141.47.221
close menu
KCI 등재
이이(李珥)의 『순언』(醇言)과 이단의 문제-조선조 유가 지식인의 내면 풍경에 대한 한 가지 고찰-
Yi Yul-gok and the Lao-tzu-The Ambivalence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Confucianism-
김시천 ( Si Cheon Kim )
시대와 철학 23권 1호 107-145(39pages)
UCI I410-ECN-0102-2012-100-003240746

이 논문은 최근 발견된, 조선의 유학자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었다고 하는 노자 주석서 『순언』(醇言)을 소재로 하고 있다. 조선조는 주자 성리학을 정통으로 하고, 이를 국가적 이데올로기로 삼아 통치하던 나라였다. 따라서 정통의 숭상과 이단의 금기는 단순히 사상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강고한 의식을 낳았다. 그러나 『순언』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을 추적하다보면, 조선조 유교 지식인과 관료들의 사고가 그렇게 폐쇄적이지만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강고한 정통과 이단의 도식으로서 보다는 유교적 지식인의 내면과 외면을 드러내는 하나의 분출구로서, 노자와 같은 이단의 책이 갖는 의의를 추정적으로 더듬고 있다. 정치적으로 강력하게 배격된 이념으로서의 도교(소격서)와 달리 『노자』는 일정 정도 진리를 담고 있는 책으로서 수용되었으며, 특히 정통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한 『노자』와 같은 책들과 관련된 수많은 이야기들은, 이러한 이단의 책이 오히려 정치적 교조로서 강고해진 주자학만을 고수해야 하는 조선 조 유학자들의 내면 세계를 드러내는, ``자유``를 향한 또 다른 욕망이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조선조 사회의 정통과 이단은 단지 배척과 금기의 단순한 대상이 아니라, 조선조 유학자의 이면을 들려다 볼 수 있는 통로로서, 새롭게 조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about the Confucian`s attitudes to Taoist tradition in Chosun Dynasty,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text Lao-tzu of Yi Yul-gok. The Neo-Confucianism as an official ideology in Chosun had a dominantpower in most fields of state and culture. As a result, writing on the heterodoxical texts, such as Lao-tzu and Chuang-tzu, was the thing that would be attended with danger to the writer. Nevertheless Yi Yul-gok had edited and annotated on the Lao-tzu. His commentary to the Lao-tzu was the first of the five works on the Taote-ching, which is extant to the present. We have assumed that Chosun Confucianism had excluded the Taoist texts as heterodoxy, and applied social and political restraints to the writing and reading on the texts. On the contray, once we scrutinize the historical records and its backgrounds in respect to the texts, we shall made a sense of the ambivalence of Neo-Confucian scholars to heterodoxy in Chosun dynasty. Literary and religious intereststo the Taoist texts revealed the will to power or enthusiasm for liberation of the literati class. If they used the Confucian classics as a tool for government and self-cultivation in officialdom, also they hoped to liberate from rigorous morality or to escape from the heavy burden in official lif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