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40.151
3.144.140.151
close menu
KCI 등재
한반도 근대성과 민족전통의 변형
The Korean Modernity and Transformation of National Tradition
이병수 ( Byung Soo Lee )
시대와 철학 23권 1호 311-343(33pages)
UCI I410-ECN-0102-2012-100-003240711

이 글의 목적은 한반도 근대성이 전통과 근대의 조우를 통해 형성되었다는 전제 아래, 남북의 국가권력이 주민의 몸과 마음에 각인시킨 ``만들어진 전통``의 공통적 특징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전통담론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전통이해의 방법론에서 홉스봄의 ``만들어진 전통`` 개념 못지않게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은 중요하다. 근대 국민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의도 아래 만들어진 전통의 측면뿐만 아니라 전근대로부터 어어져온 장기지속적 전통의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만 전통과 근대가 서로 만나 형성되는 복합적인 한반도 근대성의 메카니즘이 해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주로 ``만들어진 전통``의 측면에만 제한하여, 남북이 민족전통을 활용하는공통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째, 남북은 공통적으로 유교전통을 정치적 리더십 확립과 경제발전을 위해 활용하였다. 유교전통은 전근대 봉건사회의 지속이 아니라, 국민국가 수립과 산업화 촉진이라는 근대적 관심에서 활용되었다. 둘째, 남북은 민족전통의 활용에서 공통적으로 정신주의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세기 한반도 지성사에 특징적인 정신주의적 경향은 해방 이후, 남북을 막론하고 근대화의 수단이자 훼손당한 민족주체성을 회복하는 유력한 방도로 여겨졌다. 전통담론의 방향으로 강조한 것은 일국중심의 배타적 독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 근대 이전의 전통을 의도적으로 계승하고 창조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 서양문물 수용 이전의 전통과는 또 다른 의미의 전통을 형성하는 20세기 한반도 근대성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 the premise that the modernity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shaped by the encounter of tradition and modernity, to investigate the common feature of ``invention of tradition`` that state power of North and South Korea has imprinted on people`s body and mind, furthermor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 desirable discourse on tradition. In the methodology of understanding on tradition, Pierre Bourdieu`s ``Habitus`` is as important as Eric Hobsbawm`s ideas so called ``invention of tradition``. Because we can explain the complex modernity-mechanism of the Korean Peninsula shaped by the encounter of tradition and modernity, only when we must consider not only the invented aspects of tradtion led under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intentions of modern nation-state, but long-lasting aspects of tradtion inherited from the premodern. Nevertheless, mainly limiting to aspects on ``invention of tra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common feature that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taking advantage of national tradition. First, North and South Korea commonly took advantage of confucian tradition for both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leadership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confucian tradition has been used for not the continuation of feudal society, but the modern interest,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 and the promotion of industrialization. Secondly, North and South Korea have showed a commonly spiritual tendency in the use of national tradition. The spiritual tendency has characterized throughout the Korea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20th century and after liberation in 1945, it has been regarded as not only the means for modernization but a viable strategy to recover the damaged national subjectivity, whether North and South Korea. The direction of discourse on tradition has highlighted in the following ways : escaping from the one state-oriented exclusive monopoly, efforts required for intentionally inheriting and creating the premodern tradition, and including the Korean modernity of the 20th century shaped another tradition from the tradition before accepting the Western civiliz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