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200.66
3.138.200.66
close menu
KCI 등재
포스트페미니즘 드라마에 대한 수용자의 선호연구
The viewers´ board Audiences´ regarding of post-feminism Drama
이화정 ( Hwa Jeong Lee )
UCI I410-ECN-0102-2012-650-003162106

본 연구는 포스트페미니즘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선호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2008년에 방영된 SBS드라마 <달콤한 나의 도시, 2008>의 시청자 게시판의 선호요인을 정리한 논문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대중문화 영역에서 포스트페미니즘 텍스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들을 둘러싼 담론 역시 양적으로 팽배해지고 있다. 외모 지향성과 물질주의를 조장하며 상품논리에 편승하는 상업적인 장르라는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지만 포스트페미니즘 텍스트를 즐기는 수용자들의 욕망은 훨씬 다원적이고 새로운 시대의 여성상에 대한 선호를 반영한다. 수용자의 선호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문학계에서 대표적인 포스트페미니즘 소설로 소개되었던 <달콤한 나의 도시>를 원작으로 SBS에서 2008년에 방송된 드라마 <달콤한 나의 도시>의 시청자 게시판을 분석대상으로 조사하였다. 3487건의 전체 게시판 글 중 1209건의 시청자 소감을 인터넷 민속 지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포스트페미니즘 텍스트를 선호하는 수용자들의 선호 이유와 그 의미는 첫째 현실적인 스토리에 대한 현대 수용자의 호응이다. 그동안 기존에 드라마들이 남성중심의 시각으로 여성 주인공을 신비화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 드라마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은 성적인 욕망과 사회적 욕망을 가진 존재로 묘사되며 보다 현실적인 현대의 여성상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그동안 가족중심과 가부장적 관계에 의해 다소 비중이 적었던 여성간의 연대에 대한 수용자의 선호를 반영한 점이다. 셋째 미적행위에 대한 수용자들의 선호의 반영이다. 포스트페미니즘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의 소비행위는 가부장적 젠더 규범을 흔들 수 있는 권력으로 상징화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why the consumers watching SBS drama, of post-feminism text like it and what implied meaning it has. For the recent few years, people have keen interest in post-feminism text in the area of public culture, and discourse around it also has surged quantitatively. Although some view it negatively saying that it is a commercial genre that gets on product logic raising lookism and materialism, the needs of the consumers enjoying post-feminism text are highly diverse and reflect a new image of women in this new era. Thereupon, this study takes as its subject for analysis the viewers` board of SBS drama broadcast in 2008 having as its original work which is induc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ost-feminism novels in the literary circ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1209 viewers` reviews among total 3487 on the board with the internet ethnographic method, the first meaning and reason of the viewers` preference for post-feminism text is the reflection of modern consumers` preference for realistic stories. Although previous dramas tended to make a mystery of female characters from the male-oriented view, this drama reflects women`s sexual needs and modern women`s passion for social life. Second, it reflects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women`s ties which has so far taken a smaller portion than family-centered or patriarchal relationships. Third, it reflects consumers` preference for aesthetic behavior. The consumption to adorn the body in this post-feminism era is not the behavior of purchasing items but ``aesthetic behavior`` to create and transform oneself newly and also is the power for women to shake the patriarchal gender norms. The fragmentary view to derogate women`s consuming culture discusses modern women that will actually practice the agenda of new feminism and also hinders the exploration of their ident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