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30.82
3.144.230.82
close menu
KCI 등재
산성도시 남한산성의 도시 기능성 변화
The Changing Urban Functionality of the Namhansanseong Fortress City
최재헌 ( Jae Heon Choi ) , 차은혜 ( Eun Hye Cha )
UCI I410-ECN-0102-2012-330-003189533

본 논문은 조선시대 광주읍치였던 산성도시 남한산성의 도시기능성의 변화를 18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심성과 계층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남한산성에 읍치를 두었던 광주는 조선시대 후기에 유수부가 위치한 행정·군사·교통의 중심지에서, 일제강점기에는 남한산성의 읍치 기능 상실과 함께 중심성이 쇠퇴하고, 급격한 도시화를 겪은 1970년대 서울의 배후지, 고속도로가 등장한 2000년대 서울과 경기 남동부지역을 연결하는 경유지로 그 위상이 변하였다. 지역연결체계 분석결과 광주는 조선후기 제1·2차 결절점에서 일제강점기 제2차 결절점으로, 다시 1970년대 제3차 결절점으로 변하였고, 2010년 제2차 결절점으로 용인에 포섭되고 있으며, 일상 생활권에서는 성남에게 포섭되며 중심성이 매우 낮다. 본 연구는 도시지리학에서 계량적인 도시기능성 분석 방법을 고지도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까지 거슬러 새롭게 적용한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nging urban functionality of the Namhansanseong in Gwangju-city, Gyonggi Province from Chosun Dynasty to the present in terms of centrality and hierarchical structure in Gyonggi regional systems. The study area including the Namhansanseong fortress city, has been shifted its urban functionality from dominant administrative, defensive and transportation cen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toward a city in losing central function after disloca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ward an urban hinterland after rapid urbanization in the 1970s, and finally to a nodal point on a transportation routes from southeast area of Gyonggi province to Seoul. The analysis on regional hierarchical structure shows the changing status of the study area, Gwangju, from the 1st and 2nd rank nodal point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respectively, to 2nd nodal point in th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3rd nodal point in the 1970s, and to the 2nd nodal point nested by Yongin for road system as well as Seongnam for daily living trips with very low centrality. This paper can make a contribution to apply the quantitative methods of urban functionality into historic urban centers in analyzing old maps of Chosun Dynasty from methodological perspectiv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