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2.37
3.149.252.37
close menu
KCI 등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 analysis on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 on reading comprehension
이효진 ( Hyo Jin Lee ) , 오희화 ( Hee Hwa Oh ) , 최경호 ( Kyoung Ho Choi )
UCI I410-ECN-0102-2012-410-00314115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법을 이용하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연구된 독해력 관련 연구 70편을 종합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평균 효과 크기는 0.763으로 큰 편이었다. 둘째, 초등학교의 효과크기가 1.030으로 가장 큰 가운데, 학교 급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술지의 평균 효과크기가 1.250으로 학위논문의 평균 효과크기인 0.700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과 측정방법에 대해서는 읽기방법의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다섯째, 적용언어에 대해서는 한국어가 영어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미발표된 연구결과물을 포함시키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려는 시도는 나름대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 on reading comprehension using meta-analysis method. The authors synthesized 70 studies regarding reading comprehension conducted during 2001 through 2011. The analyses revealed that 1)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reading development program yielded.763, which is regarded considerably large, 2) th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group was the biggest, 1.03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st school levels, 3) the average effect size of published journal articles was 1.250,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dissertation`s.700, 4) regarding the methods to measure the effect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effect size of reading method was larger, and 5) the effect size of Korean reading development program was statistically larger than that of English reading development program. This study has limitation as it didn`t include unpublished manuscripts, conference presentations, and the like,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that it tried to draw integrated conclusion about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s using meta-analysi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