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15.120
18.222.115.120
close menu
21세기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이남호 ( Nam Ho Lee )
한국어문교육 10권 1-21(21pages)
UCI I410-ECN-0102-2012-700-003316236

오늘날 한국에서 국어교육이 처한 환경은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갓처럼 보인다. 사회 환경도 급변하고 있지만, 국어교육과정이나 국어교과서도 비교육적이리만치 자주 바뀌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특히 국어교육의 이념에 대한 반성적 검토가 요구된다. 국어교육이 무엇인지, 또 국어교육을 왜 해야 하는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본고는 지금까지의 국어교육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국어교육을 왜 해 왔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20세기 전반기까지의 국어교육은 근대 민족국가의 형성과 관련하여 중요 하게 인식되었다. 즉 국어가 국민들을 계몽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 서구의 근대문물을 받아들이는 기본적인 도구로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였고, 국어교육은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애국심을 기르기 위한 만족운동의 주요한 일부로 안식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지금까지 교육과정은 9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국어교육이 민족의 삶과 번영에서 기시적인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는 점에서 3차까지의 교육과정은 20세기 전반의 국어교육 의 이념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4차교육과정부터는 국아과의 특성이 보다 구체화되고 영 역 구분이 강화되며, 국어교육의 민족 (문화)적 가치가 원경으로 밀려나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특히 5차교육과정은 국아과를 기능중심 의 교과로 변화시키고 국어 교육에 서 영 역 의 세분화와 공고화를 강화시키는 분수령이 되었다. 이는 국어교육이 더 이상 정신형성의 교과가 되지 못하고 단순히 언아사용기능을 훈련시키는 교과가 되어 간다는 갓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왜냐하면 언어기능교육에 치중한 국어교육 은 국어 문화 창조 등의 국어교육의 보다 근원적인 의의를 외면하기 때문이다. 국어교육이 시작된 지 100여 년이 지냔 오늘날, 국어교육은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교육열이 높고 문맹률이 낮은 나라에 속한다. 이러한 환경은 중학교와 고둥학교에서의 국어교육이 학생 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둘째, 오늘날 우리는 전자문화가 지배하는 세상에 살고 있으며, 국어생활도 전자문화의 영향력 속에서 이루어 진다. 전자문화가 지배적인 환경에서 국어교육이 전자매체와 전자문화를 어떤 식으로 수용하고 또 어떤 면에서 대항할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셋째, 오늘날 세계는 빠른 속도로 지구촌이 되어가고, 영어는 세계공용어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영어가 실질적으로 세계공용어가 되고 보편어의 지위를 갖게 되는 상황을 국어교육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본고는 국어교육이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성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으로서 정립되어야 한다고 보며 이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먼저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성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으로써 국어교육의 목표와 성격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어가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상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이 되려면, 국어교육의 영역 구분은 편의적인 것이 되고 실제 교육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대 마지막으로 전자문화의 번성 속에서 전자시대일수록 국어교육이 강한 문자문화적 성격을 강조하며 전자문화의 대척점에서 정체성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전자시대에 국어교육이 홀로 문자문화적 성격을 강조하여 전자문화의 약점을 보강한다면 국어교육의 의의가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

Why We Teach Korean Language? Different perspectives and approaches to mother tongue education are needed in a different period. Now in 2l century, Korean society should ask ourselves a question, "What is Korean language eduction and how we teach Korean language?" to seek for more effective ways of teaching our mother tongu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ast in the 19th century, Korea tried to defend itself against invasions from other countries and develop into a modem state, at that time. Korean language was educated as a tool to enlighten Korean citizen and to accept new cultures and knowledge from other developed countries. Korean language was considered the essence of Korean culture and patriotism.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s colonial rule in 1945, Korean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educate Koran language in more systemic ways. Establishing a national curriculum was the most important and fast way to change and reform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was established in 1955 and it has been revised 7 times to meet diverse needs that change with time. From the first to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the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to teach basic literacy skills, to improve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to heighten the pride of Korean culture. In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created in 1981,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anguage skills, grammar,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focused more on improving students literacy skills rather than learning grammar and declarative knowledge related to literature criticism. Emphasizing language skills is sometimes criticized by some Korean language educators in that it does not foster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make mother tongue instruction similar to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New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re are three new environ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 should consider, First, we should think low illiteracy rate of Korean students and their parents` high zeal for children`s education The second trends is dramatic development of technology, we should reconceptualize the notion of mother tongue education in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digital age. Finally, we should accommodate globalization into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fostering bilingual curriculum and developing effective instruction for teaching Englis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