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200.226
3.142.200.226
close menu
화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Present and Future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임칠성 ( Chil Seong Im )
한국어문교육 10권 261-288(28pages)
UCI I410-ECN-0102-2012-700-003316276

화법 교육은 6차 국어과 교육과정 때문에 과목으로 신설되어 운영되어 왔다. 6차 교육과정에서 현재의 교육과정으로 넘어오면서 화법의 개념은 표현과 이해에서 상호 교섭으로 바뀌었다. 이것은 연설 중심의 화법 교육이 대화 중심의 화법 교육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뜻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에서는 화법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매체적 특성을 강조함에 따라 화법의 하위 능력은 표현과 이해 중심의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구두 언어적 능력, 관계적 능력, 자기 점검 및 조정 능력으로 확대되었다. 화법의 기능도 주변의 문제 해결, 가족과 사회 구성원 간의 합리적인 갈등 조정, 인간 관계의 개산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화법 교육의 목표도 표현과 이해의 의사 소통 능력에서 시작하여 화법 지식, 화법 문화, 상황 분적, 담화 유형 등으로 구체화 혹은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체계에서도 6차의 ``내용의 선정, 조직, 표현 및 전달`` 에서 7차의 ``언어적 배경, 사회 문화적 배경, 전략``의 틀을 거쳐 현재는 ``수용과 생산, 사회적 상호 작용, 점검과 조정``이라는 구어 표현, 사회적 관계, 점검과 조정이라는 세 개의 내용 층위로 발전해 왔다. 의미 표현Z전달 중심의 일차적인 교육 내용 층위가 화법은 상호 교섭 과정이라는 기본적인 인식 아래 삼차원적인 층위로 발전한 것이다. 담화 유형의 실제도 화법 교육이 학문적인 틀에 기반을 한 교육과 함께 학생들의 현실적 요구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하여야 한다는 의식을 배경으로 대화, 연설, 토의, 토론 외에 면접, 협상, 발표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화법 교육은 사용되는 용어와 개념들이 화법 교육의 학문적 발달에 부응하여 재개념화 혹은 명료화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또 국아 교육의 화법 영약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여 화법 교육이 확대되고 내실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우리 사회에서 혼란을 빚고 있는 호·지칭과 사회적 인사말에 대한 화법 표준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사회가 현재의 문자 사회와 소통의 구조와 방식이 달라짐에 따라 이에 대비하는 화법 교육의 틀을 마련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since 6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en speech communication appear as a subject, The character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was changed from that of speech orientation to that of conversation orientation, which prescribed speech communication as transactional process, and emphasized ifs social and cultural attributes. Sub-abilities of speech communication have been enlarged into oral language ability, relational ability, self monitoring and self control ability. The skills of speech communication have been specified to be problems solving in surrounding, reasonal conflict meditation among family or society members. The aim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has been deeper and more concrete. It began oral composition and comprehension ability and it expanded it`s range to the knowledge of it, the culture of it, analysis of situation, and types of discourse, Those are resulted from cognition of speech communication as a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not as a tool for communication simply. Even though the developmen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have lots of problems to be solved those which are caused by the needs of inside and outside situation. First, it should make some terms redefinition or clearly including ``speech communication`` itself Second. it should make an effort that the needs abou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of them will be responded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it should make Korean speech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in three pails; domestic part, part of un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part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t last, it should accept and educate the changes of stricture and method in speech communication, caused by the change the media from oral and written language to digital languag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