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1.22
3.145.191.22
close menu
KCI 등재
국어학 : 국어의 형태소 분석에 대한 일고찰(1)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1) -For Proper Nouns-
이상복 ( Sang Bok Lee )
배달말 50권 1-35(35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3071670

일반적으로 고유명사는 특정한 한 지시 대상만을 가리키는 특칭적 의미로 해서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여러 사실들에 비추어 볼 때 고유명사도, 그것이 복합형태로 된 것이면, 형태소 분석을 해야 한다. 어떠한 언어형태이든 그것을 분석하면 그 의미가 깨지나 그것이 복합형태이면 형태소 분석을 하고, 보통명사들도 항상 그 어원적 의미를 염두에 두고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또 그것을 분석하면 그 지시 대상을 가리킬 수 없으나, 그것이 복합형태이면 형태소 분석을 한다. 따라서 고유명사가 그 어원적 의미로 지시 대상을 가리키지 않고, 그것을 분석했을 때 의미가 상실되고 그 지시 대상을 가리킬 수 없는 것이 고유명사를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근거가 될 수 없다. 보통명사와 고유명사의 구분은 형태소 분석 가능 여부에 의한 것이 아니며, 하나의 언어형태를 작게 쪼개는 것은 그 지시 대상이 몇이냐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러므로 보통명사가 형태소 분석이 가능하다면 고유명사도 형태소 분석을 해서 안 될 이유가 없다. 기존의 고유명사에 관한 형태론적, 의미론적 논의들은 고유명사의 형태소 분석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고유명사를 형태소 분석을 하지 않으면 복합형태의 고유명사를 하나의 형태소로 다루어야 하고, 한 가지 말이 고유명사와 그 밖의 말에 쓰였을 때 서로 달리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고유명사에 쓰인 형태소 자체는 고유명사의 특칭적 의미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일반 형태소이다. 그러므로 고유명사도 형태소 분석을 하는 것이 마땅하다. 한자 인명의 외자 이름과 두 자 이름의 구분, 두 자 한자 인명을 외자 이름으로 줄여 부름은 인명의 형태소 분석 가능성을, 그리고 둘 이상의 어종으로 된 지명과 상호, 한 지명에 대한 고유어 지명과 한자 지명의 공존, 두 한자 지명에서 한 자씩 따서 만든 지명, ``국어 로마자 표기법``에서 행정구역 단위와 ``가`` 앞에 붙임표(-)를 넣도록 한 규정은 지명과 상호의 형태소 분석 가능성을 뒷받침해 주는 것이다.

It is considered in general that we cannot divide proper nouns any deeper. In respect of many linguistic phenomena, however, they should also be analyzed morphologically if they are a composite of two or more morphemic forms. Whatever linguistic form a word may have, if it is once analyzed into parts, its meaning as a whole gets lost. However, if the linguistic form is a composite, we should try a morphological analysis of it. In case of common nouns, they are objects of morphological analysis if they are a composite, even though they do not always refer to their referents by their etymological meaning and the referents may not be referred to by the analyzed components of the composite. Therefore, it cannot be the reason for not doing the analysis of proper nouns morphologically that they do not refer to their referents by their etymological meaning and their analyzed components may neither carry their composite meaning nor refer to the referents of the composite.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ommon nouns and proper nouns is not whether they are analyzable morphologically and to divide a linguistic form into smaller parts has nothing to do with the number of its referents, if common nouns are morphologically analyzable, there is no reason for avoiding morphological analysis of proper nouns. In fact,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discussions on proper nouns so far presuppose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m. Obviously, if we do not analyze proper nouns morphologically, then there would be a problem that we have to treat proper nouns of composite form as single morphemes, and that the same forms used in both proper nouns and other words must be treated differently. And a morpheme used in a proper noun itself is a general independent morpheme, having no relation to the unique meaning of the whole proper noun. It is thus necessary that proper nouns undergo morphological analysis. Use of one syllable or two for first name in personal names and calling a person of two-syllable first name only with one syllable suggest that personal names can be morphologicall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morphological analysis of geographical names and business-firm names is supported by those names composed of two or more languages, the coexistence of a pure Korean name and a Sino-Korean name for the same place, the place names made up of one syllable each from two Sino-Korean place names, and a code in the ``Law of Roman Alphabetic Transliteration of Korean`` that stipulates a hyphen (-) should be inserted before a form representing an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or ``ga`` meani ng stree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