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72.115
3.144.172.115
close menu
KCI 등재
장애이미지, 장애원인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특수교육관련 종사자의 인식 비교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Focusing on Images of and Attributed Causes of Disabilities and Service Op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구정아 ( Jeong Ah Ku ) , 박승희 ( Seung Hee Park )
지적장애연구 14권 2호 101-130(30pages)
UCI I410-ECN-0102-2012-370-003110696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관련 종사자 세 집단이 5가지 장애사례(지체장애, 지적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자폐성장애)를 통해 인식하는 장애이미지, 장애원인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밝히고 세 집단의 인식 차이가 지니는 함축성에 대해 논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울, 인천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 및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97명과 통합학급의 일반교사 98명, 특수교육보조원 93명을 합한 총 288명의 설문지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장애상황태도척도(McQuilkin, Freitag, & Harris, 1990)와 장애요인척도(William, Hershenson, & Fabian, 2000)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 세 집단 모두 장애이미지가 높지 않았으며 세 집단이 인식하는 장애이미지는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가지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와 각 장애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 모두 장애이미지 점수 평균이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원, 일반교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가 인식하는 장애원인은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와 각 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 하위요인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제공방법을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살펴보았을 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각 장애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하위요인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교육에 직접 관여하고 협력해야 할 특수교사, 일반교사 및 특수교육보조원이 장애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그 세 집단 간 인식 차이 자료를 처음으로 제공하였다. 세 집단 모두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장애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이 세 집단 간의 장애인식 차이를 줄이고 협력 증진이 촉구된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관련 종사자의 장애에 대한 다학문적 균형잡힌 관점과 심화된 이해를 위한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toward disabilities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especially focusing on images of and attributed causes of and service op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were 97 special education teachers, 98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93 paraprofessional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nd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chon and Gyeonggi. The questionnaires were organized based on modified version of the Situational Attitude Scale, Handicapped Version(SASH) and the Disability Attribution Scale. In this study were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was conducted one-way AN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On the images of disabilities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by combining 5 cases of disabilities and respectively. On the attributed causes of disabilities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in some subfactors of causes of disabilities. On the service op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th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by combining 5 cases of disabilities. However, according to each case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subfactors of services op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needed for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to narrow the gaps of the perception and to enhance positive perception toward disabilities.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tinued to reduce the gaps of these perceptions and to increase the necessary supports for enhancing collaboration among related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for quality education for all stud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