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18.230
3.137.218.230
close menu
KCI 등재
<소양정>에서 새로운 여주인공의 등장과 군담소설 양식의 해체
The Appearance of New Heroine and The Deconstruction of War Novel in
이정원 ( Jeong Won Lee )
UCI I410-ECN-0102-2012-810-003073753

이 논문은 이해조가 1912년 신구서림에서 출판한 <소양정>을 대상으로, 군담소설의 해체 양상을 살폈다. <소양정>은 군담소설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그러나 <소양정>에서는 군담소설과 달리 천상계가 사라졌다. 이는 이 작품이 군담소설 특유의 운명론적 세계관에 기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못마땅한 사위 박해``는 이런 이러한 서사적 변화를 이해하는 실마리이다. 군담소설에서 그것은 미성숙한 영웅이 치러야 하는 예정된 시련이었지만, <소양정>에서는 이기적인 개인들끼리의 우연한 갈등일 뿐이다. 그러므로 집을 뛰쳐나간 정채란에게서 발견되는 ``의지적인 여주인공``은 새로운 서사 전개의 원동력에 따라 구현된 소설 형식임을 알 수 있다. 즉 그녀의 형상은 자유의지의 소산이면서 동시에 군담을 대체하는 새로운 갈등의 매개이기 때문이다. ``살부지수 복수담``은 기존에 신소설의 신파조를 계승하여, 못마땅한 사위담과 연계되지 못한 채 삽입된 것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아버지를 죽인 원수를 갚는 내용이 군담소설의 변용이라고 설명했다. 즉, 반동인물이 아버지를 죽임으로써 주인공을 고난의 여정에 들게하는 점이 군담소설과 일치한다. 그러면서도 그들의 대결이 천부적인 선악 관념이 아니라 세속적인 이해관계에서 비롯된다는 점은 <소양정>의 독자적인 면모이다. 한편, 살부지수 복수담이 못마땅한 사위 박해담과 서로 무관하게 진행되는 것은 군담소설에서 반동인물과 주인공의 갈등이 천상계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진행되었던 것의 흔적으로 이해된다. <소양정>에서 운명론이 아니라 개인의 자유의지와 욕망이 추구되면서 군담소설의 양식은 해체된다. 먼저 등장인물의 변화가 포착된다. <소양정>에서는 남주인공이 ``예정된 성장``을 이루지 못한 채, 사적 위기에 빠져 이를 해결할 뿐이다. 즉 그는 공동체를 구원하는 영웅이 아니라 공동체에 의존하는 개인이다. 또한 여주인공은 서사 전개의 새로운 매개로 등장했다. 그는 남주인공의 운명에 부속되지 않는다. 그는 스스로 고난에 뛰어들어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로써 그녀를 둘러싼 음모가 펼쳐지고, 거대하고 관념적인 악인이 아니라 소소하고도 일상적인 범죄자들이 반동인물로 활약하게 되었다. 또한 군담소설 특유의 운명론이 사라지면서 원조자들마저 반동인물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처럼 <소양정>에서는 군담소설 특유의 인물 형상이나 갈등이 해체되었다. 한편 <소양정>에서의 시공간은 관념성을 탈피했다. 군담소설에서는 주인공의 처지에 따라 시공간이 왜곡되고, 사건들도 시간적 연쇄보다는 천상계에서의 예정성에 근거하여 발생했다. 그러나 <소양정>에서는 시공간적 구체성이 복원되었다. 그만큼 이야기세계는 운명론과 같은 관념에 의해 창출되기보다는, 개인의 자유의지와 욕망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드러내기 위해 현실 세계를 모방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게 된 것이다.

I intend to explain the deconstruction of war novel in published in 1912 with Shinguseorim by Lee Haejo was influenced by war novel. But the heaven world which was essential part of war novel disappeared in . It means that this work was not supported by fatalism peculiar to war novel. The persecution of unsatisfactory son-in-law was a clue to understand this change of narrative. In war novel, that was a planned trial. But in , that was a accidental trouble by selfish individuals. Therefore the volitional heroine seen through Jeong Chaeran who had gone out the house for love, was a new novel form essential to new way of narrative. The form of her was a consequence of free will and at the same time a new medium of new confliction which substitute for war scene. The story of revenge against father was estimated not to connect to the persecution of unsatisfactory son-in-law. But I explained this as a change of war novel. An antagonist killed the hero``s father so that the hero had to get in the course of troubles. This was similar to war novel. But it was the distinguished difference that the conflict was originated not from the good and evil but from the loss and gain. While was established not in fatalism but individual`s free will and desire, the mode of war novel was deconstructed. First, the protagonist did not experienced the planned growth, and he ended the confliction with the help of law. So he was not a hero but a normal individual. Second, the dependent female protagonist changed into independent. Third, there was not a regular helper. Some helper as like a friend of father changed to a antagonist. Forth, time and space in regain the concreteness. In war novel, time and space might be distorted according to protagonist`s situation but in that could not. Instead of that, the time and space was given to imitate the real world to present how the individual`s free will and desire exis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