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13.188
3.138.113.188
close menu
KCI 등재
고전소설의 인물 비평 교육 연구 서설 -인물 비평의 개념, 위상, 방법-
An Introduction to Character Criticism Education in Korean Classical Novels
이상일 ( Sang Il Lee )
국어교육학연구 44권 425-452(28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3049950

이 연구는 소설 교육에서 무엇보다도 인물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중고등학교 학습 독자가 고전소설 속 인물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적 수행으로서 인물 비평의 방법을 탐색하였다. 기존의 소설 교육에서 인물에 대한 교육적 연구와 실천이 인물 형상화 방식에 집중되어 왔다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삼아 학습자들이 소설 속 인물을 인식·해석·평가하는 비평 활동에 주목하였다. 인물 비평의 방법을 논하기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의 ``춘향 비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물 비평의 대상, 근거, 방식에 대하여 논하였다. 소설 교육에서 인물 이해의 대상은 인물의 성격이 주가 되는데, 인물의 성격은 작품 내외적인 측면에서 텍스트적 성격, 사회적 성격, 심리적 성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인물 비평은 대상 인물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과정과 결과를 텍스트 내 언술을 근거로 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인물에 대한 텍스트 내 정보의 원천으로서 인물정보소의 개념이 정립될 수 있다. 인물정보소는 소설 텍스트 내 언술 주체 및 정보소의 직접성 여부에 따라 명시적 정보소와 암시적 정보소로 나눌 수 있다. 인물 비평 교육은 학습독자가 인물정보소를 찾아 해석하고 이를 구조화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실천되며, ``대상 인물에 대한 직관적 인식-대상 인물의 인물정보소 추출-인물정보소에 대한 해석-이해 결과의 논증적 구성``의 과정으로 절차화할 수 있다. 소설 교육에서 인물은 중요한 교육내용으로서 비중 있게 교육적 실천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작 학습독자가 인물을 이해하는 활동의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논의가 없었다. 이 연구는 전통적인 문학 교육의 관심사였던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 주목하면서, 텍스트 속에 다양한 국면을 가진 작중 인물에 대한 의미론적 수용과 변형을 학습자 스스로 수행하는 실천적 교육 절차를 구안함으로써 인물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suggests some ideas on the undertanding the characters in Korean classical novels. The main idea has to do with character criticism in novel education Character criticism is the educational understanding activity that the reader such as high school student read the fiction-such as Chunhyang-jeon, Heungbu-jeon, etc.- and get the image of the characters, to write criticism. Character criticism is a kind of literary criticism. The Process of Character Criticism is as in the following. In First Reader have to find character information source in the text. Character information source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explicit information source and implied information source. The next stage, the reader interpret character information source, and estimate the character, to describe the outcome of the interpretation. This outcome, the character criticism follow the demonstration structure. This thesis suggest the new educational way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fictions. This is relevant in this regar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