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242.165
3.140.242.165
close menu
KCI 등재
토론 평가 패러다임 분석에 따른 토론 평가의 방향 고찰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ebate Evaluation Based on Analysis of Debate Judging Paradigms
이선영 ( Sun Young Lee )
국어교육학연구 44권 453-481(29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3049965

토론 평가는 토론 교육이 지속적으로 심화된 형태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내의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미국 토론 협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토론 평가 패러다임과 관련한 논쟁을 통해 토론 평가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토론 평가를 둘러싼 패러다임 논쟁을 ``필수 쟁점, 정책 입안, 가설 검증, 백지 이론, 말하기 기술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각 패러다임의 장·단점을 기술하고 각 패러다임이 주목하고 있는 토론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 평가에서 논의될 사항을 평가의 주체, 내용, 방법으로 나누어 다루었고 패러다임에 따른 토론 목표의 중점 사고 유형을 살피면서 토론 목표에 따른 토론 평가의 주안점을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제안한 토론 평가의 방향은 우선, 토론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인식과 토론 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토론 대회 위주의 평가의 한계를 벗어나 토론 활동의 실천 지평을 넓힐 수 있도록 토론 평가의 유형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토론 활동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고려할 수 있는 여러 평가 요소들 중에 수업 목표에 가장 적합한 평가 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Debate evaluation is the essential part for the sustainable improvement of debate education. comparing to the importance of debate evaluation, domestic researches of this part are very few. so I intended to gain implications on the direction of debate evaluation through investigating of controversy on debate judging paradigms which are discussed in ``National Debate Tournament`` and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I generalized controversy on debate judging paradigms focused on ``Stock issue paradigm``, ``Policy making paradigm``, ``Hypothesis-Testing paradigm``, ``Tabula Rasa paradigm``, ``Speaking skill paradigm.``. and I described each paradigm of distinction and analyzed each of merits and disadvantages. and I also discussed the elements of debate evaluation which are the subject of evaluation, the contents of evaluation, the method of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the direction of debate evaluation, it is suggested that In-depth discussion and Philosophical contemplation on the Essence of debate should be accomplished before developing a standard debate evaluation check-list. and I also proposed the concept of debate evaluation should be enlarged to support various kinds of debate activ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