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1.94
3.16.81.94
close menu
KCI 등재
서울시 지표 오존 오염 분포의 공간적 분석
Spatial Analysis of Ground Level Ozone in Seoul, Korea
박선영 ( Sun Young Park ) , 김영호 ( Young Ho Kim )
UCI I410-ECN-0102-2012-330-003035329

지표 오존은 가정, 자동차, 사업장 등에서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아닌, 이들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이 대기 중에 함께 존재한 상태, 또는 질소산화물만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햇빛에 의한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2차적 오염물질이다. 최근 각종 연구보고들에 따르면, 지표 오존에 대한 장시간 노출은 만성 호흡기 질환, 천식 악화, 식물의 노화현상 등 인체 및 동식물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ilton, 1989). 그러나 이와 같은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지표 오존 오염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공간적인 특징을 반영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지표 오존의 계절별 공간 패턴을 추정하고 지표 오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실제 토지이용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 공간 추정 모델인 정규 크리깅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해 코크리깅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공간 추정치의 정확도가 향상된 서울시 지표 오존의 계절별 분포를 확인했으며, 실제 토지이용과의 연관성에서는 인구의 흐름이 많은 상업 및 업무시설 지역의 지표 오존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round level ozone is usually formed through photochemical reactions as Nitrogen Oxide(NOx)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from cars and factories are reacted with sun light. Naturally, ground level ozone is a secondary pollutant. Many recent studies present that ground level ozone causes various problems in both human and environments such as chronic respiratory disease, asthma, degenerating vegetation. In spite of the importance, the studies about ground level ozone have been limited. Particularly, spatial analysis of ground level ozone which investigates spatial patterns and distributions of this environment problem have been almost ignor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round level ozone in Seoul, Korea and to analyze how landuse pattern affects ground level ozone. This study applies co-Kriging which is extended version of ordinary Kriging. The results present precis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ground level ozone, regarding to land use patterns, business and commercial land us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