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01.71
3.145.201.71
close menu
KCI 등재
자유주제 : "하이칼라", 이중의 억압 -『반도시론』에 나타난 1910년대 하이칼라 담론-
"High collar", the double suppression -The Late 1910`s discourse of "High collar" focus on Bandosiron-
김도경 ( Do Kyoung Kim )
한국문예비평연구 38권 215-236(22pages)
UCI I410-ECN-0102-2013-810-002006287

이 논문은 1910년대를 전후하여 조선에서 널리 사용되던 하이칼라의 의미를 분석하고, 특히 하이칼라라는 말이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는 『반도시론』을 통해 이 시기 하이칼라 담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반도시론』 전반을 통해 하이칼라라는 말은 주로 당대 여학생과 부랑청년을 수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백대진이나 최찬식 등 『반도시론』의 주요 집필진들은 자신들의 소설이나 논설을 통해 하이칼라에 대한 경멸적인 시선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반도시론』 내에서 하이칼라는 사치와 향락, 분수를 모르는 욕망으로 표상되어 비판되었으며, 분수와 처지에 맞는 생활, 즉 응분의 생활이 강조되었다. 『반도시론』은 하이칼라를 비판하는 한편, 과거 유림들이 청년들을 단속하고 풍교를 확립하는 역할을 했던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즉 일제의 신정을 대변하고 있던 『반도시론』의 입장과 구조선의 기득권층의 이해가 이 하이칼라 담론에서 맞물리고 있는 것이다. 욕망을 긍정하며 질서와 권위를 흩뜨리는 것처럼 보이는 하이칼라는 신정의 관점에서나 구조선의 기득권층의 관점에서나 공히 눈엣가시였던 셈이다. 이러한 하이칼라 담론에는 분수나 처지에 따르지 않고, 과잉된 욕망을 좇는, 이 낯설고 생경한 세대에 대한 배타적인 인식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The word of ``High collar`` is originated in the 1890`s Japan. It came from modern high collar of man`s shirts. In those days, it is thought have stood for the westernized upper class`s propensity to consume in Japan. It is brought Korea and used generally. Most of all, it is used negative and contemptuous meaning. Bandosiron`s a line up of the writers, such as Baek Daejin and Choi chansik etc suppressed modernly educated girls and the youth by using the word high collar. Therefore high means collar extravagant and vain girl students and bad youth. Bandosiron suppressed the youth by this discourse of high collar. At the same time, this discourse of high collar closely connected with cooper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student of Confucian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