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14.32
3.149.214.32
close menu
정지용 「장수산」 ‘두 칸 띄어쓰기’의 시적 의도와 문학 교과서 검토
A Study on Poetic Intention of ``Double Word Spacing`` in Jeong Ji-yong`s Mt. Jang-su and its Application to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정원술 ( Won Sool Jeong )
한국어문교육 12권 141-178(38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2481734

이 논문은 정지용 후기 산문시의 대표작 「장수산」의 특징적인 기법인 ``두 칸 띄어쓰기``를 연구한 것이다. ``두 칸 띄어쓰기``란 정상적인 어문 규정의 한 칸 띄어쓰기가 아닌 문학적인 의도를 지닌 두 칸 정도의 띄어쓰기를 의미한다. 그 연구 결과는 현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검토하는 데 적용한다. 「장수산」의 ``두 칸 띄어쓰기``는 선행 연구를 통해 연행 구분이 없는 산문시에서 ``휴지(休止)``의 율격 효과와 ``여백(餘白)``의 시각 효과로 설명되어 왔으나, 여전히 한계가 있다. 이 기법은 산 속 ``메아리`` 소리를 의도한 ``공명(共鳴)``의 음향 효과로 이해될 때, 비로소 작품을 온전히 해석할 수 있다. 울림소리의 적절한 배치와 그 앞뒤의 ``두 칸 띄어쓰기``는 작품 안에서 율격과 이미지 차원을 넘어 소리와 주제까지 포괄하며 절묘한 조화를 이룩한다. 문학 교육에서는 「장수산」을 ``1930~40년대``의 문학사와 ``산문시``의 문학이론에 주목하여 다루고 있다. 전자는 성취 기준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충실한 원전 인용과 어석, 최소한의 문학 내적인 형식으로의 접근이 아쉽다. 후자는 문학 내적인 접근은 바람직하나, ``산문시`` 이론에만 치중하여 정작 ``두 칸 띄어쓰기`` 기법을 깊게 다루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은 「장수산」을 문학 교육에 활용할 때 추상적인 ``산문시`` 이론으로 수렴하는 것보다, ``두 칸 띄어쓰기``의 독특한 기법을 다각도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메아리`` 소리에 대한 학습자의 체험을 연결하는 새로운 학습 활동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is paper examines ``double word spacing``, a unique technique in 「Mt Jang-su」, a major work among the Jeong Ji-yong`s latter prose poems. Exploring double word spacing, two or more spaces with literary intention as opposed to the regular writing rule of a single word space, this paper applies its result to a review of th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explained double word spacing presented in 「Mt. Jang-su」 with a rhythmical effect of ``pause`` and a visual effect of ``blankness`` in prose poem with no line and stanza. this explaination has some limit. 「Mt. Jang-su」 can be fully interpreted when the technique is understood as an acoustic effect of ``resonance`` like ``echos`` through the forest. Overall, double word spacing harmonizing with the felicitous arrangement of the voiced sounds in 「Mt. Jang-su」 encompasses sounds and theme beyond metrics and imagery. High school literature education has dicussed 「Mt. Jang-su」 on the basis of literary history in 1930~40s and prose poem literary theories. Despite its appropriatenes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 standard, the former is short of sincerity in a quotation of the original text, lexical interpretation, and minimal approach to the inner form of literature.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does not thoroughly cover the technique of double word spacing due to its theoretical weight, despite its desirable inner approach to literature. This paper suggests that understanding 「Mt. Jang-su」 from various directions along with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relative to echoes alternatively substitute for the mere attention to abstract prose poem theories in literary class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