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72.78
3.139.72.78
close menu
KCI 등재
이광수 연애소설의 서사전략과 민족담론 -『재생』과 『사랑』을 중심으로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romance novel of Lee Guang-su and national discussion: focused on and
김경미 ( Kyung Mi Kim )
UCI I410-ECN-0102-2013-800-001992886

이 논문은 일제의 식민정책이 전환된 시기의 이광수의 연애소설인 『재생』과 『사랑』의 서사 전략을 통해 당대에서 드러내고자 한 민족담론이 어떤 내적 논리에 근거해서 변모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서사 전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섹슈얼리티``의 양상과 민족담론과의 역학관계, ``탈성화`` 된 여성과 ``총후봉공`` 담론의 기획, ``사랑``에 내재된 인과론과 전향의 관련성을 통해 민족 담론의 굴절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재생』은 멜로드라마의 구조인 이분법적 인물구도를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섹슈얼리티를 보여주는 순영과 고결함의 이데올로기를 상징하는 봉구의 삶을 대조적으로 그리고 있다. 작가는 ``도덕``을 기반으로 하는 민족주의 정서에 맞지 않는 비정상적인 성생활을 일삼는 순영을 자살로 파국을 맞게 하면서 당대 사회에서 ``배제``시킨다. 반면에 고결함의 상징인 봉구와 순흥은 사회를 이끌어가는 인물로 설정하여 자신의 민족 담론에 안착시킨다. 비정상적 섹슈얼리티의 발현이 ``배제``의 논리로 이어지고, 고결함의 사상이 민족 담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질의 부정성을 강조하고 ``정신주의``를 중요시한 일제의 식민주의 담론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결국 『재생』이 담지한 민족담론은 식민주의 담론을 재생산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사랑』은 이광수의 유일한 전작소설로 연애소설의 서사구조를 보이지 않는 작품으로 기존의 여타 작품과 서사 전략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사랑』은 ``탈성화`` 된 여성을 중심으로 봉사와 희생의 이미지를 구축하면서 제국의 아내이자 어머니의 역할을 부각시킨다. 이것은 ``가정의 국가화``, ``여성 노동력 동원``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되면서 제죽주의의 ``총후봉공`` 담론 기획과 은밀히 연결되고 있다. 또 ``사랑``에 내재된 인과론은 일제 말기 신체제론을 흡수하여 민족담론을 확장하고 굴절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자연스럽게 ``전향``할 수 있는 비합리적인 내적 논리를 마련해 주는 것이기도 했다.

This paper is the purpose to find the immanent meaning of the national discussion through the prologue strategy of his love story and . excludes the woman performing the abnormal Sexuality from the discussion of the nation. And the ideology which is noble through the male hero is presented and it binds with the nationalism discussion of in 1920`s. shows ``the mind principle`` which is the central idea with the work of at the late 1930`s on the day. And it is the work aiming at the nation-state discussion. It is taken into the discu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e unsexualized women. In ``love``, the world of ``love`` is connected to ``the causality rumor`` of the Buddhism and is with the logic of his ``conversion``. In conclusion, the national discussion it shows up in and was with the logic reproducing the colonialism discu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