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02.45
18.191.202.45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 욕설 문화 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Swear Word Problem
김평원 ( Pyoung Won Kim )
화법연구 20권 9-37(29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76223

욕설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설문 조사를 토대로 기술하는 방법이어서 욕설 교육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논의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와 단위 학교 학생 및 국어 교사들의 협력에 의해 ``실행 →연구→실행`` 과정을 반복하면서 3년간 진행된 실행 연구 (action research)로서, 욕 공론화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욕설 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태도 교육법은 실험 집단과 대조 집단 사이에 큰 차이가 없어 프로그램 효과는 물론 장기 지속적인 효과 역시 없었다. 통합 교육법은 실험 집단과 대조 집단의 차이는 명확하여 효과는 있었지만 한 학기 후에는 그 차이가 없어져 초기 상태로 회귀해버렸다. 반면에 프로젝트 수행법은 통합 교육법의 단점을 극복하여 장기 지속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교육환경 변인, 학년 변인, 계열 변인, 집단 간 상호작용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욕설 교육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revious studies on swearing has shown limitations in discussing the education for the foul language problem, because they has been based on questionnaires, This study is a three-year action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researcher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tudents, repeating ``action→research→ac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pply the program for avoiding foul languages to school environment and analyze the result. The Attitude Education Method failed to make any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aving no long-term effect. The Integrated Education Method made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beginning, but the distinction disappeared and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fter a semester.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ing Project Method made up for shortcomings and had a long-term effect. This study presented the foundation for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education for swear word problem, controlling variations such as educational environment, grade, field of study, and interaction within the group.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