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86.173
3.145.186.173
close menu
KCI 등재
본격적인 화제 전환을 위한 담화 표지 연구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s of Topic Change in Conversation -Focusing on ``Tareumanira``, ``Keugeongeureuhko``-
노은희 ( Eun Hee Noh )
화법연구 20권 39-69(31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76238

본 연구는 대화의 국면 변화와 화제의 전환 지점에서 불완전한 결속을 보완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담화 표지 가운데,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를 중심으로 화제 전환 양상을 살펴보았다. 화제 전환을 위한 담화 표지는 화제 전환 지점을 중심으로 그 전후에서 발생한다. 화제 전환은 이전 화제를 마무리하거나 새로운 화제를 도입함을 표시함으로써 그 양상을 드러낼 수 있으며, 그것을 복합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화제 전환이 급격할수록, 화제 전환의 의도가 분명할수록 화자는 분명히 이를 상대에게 명시적으로 알려 주어야 한다. 이때 화자는 감탄사, 접속어, 간투사 같은 간단한 미시 표지보다 비교적 형식이 긴 전환 표지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그 동안 담화 표지로서 조명 받지 못한 ``다름 아니라``와 ``그건 그렇고``와 같이 구 형태의 거시 표지에 주목하였다.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는 여타 화제 전환의 담화 표지와 비교하여 그 쓰임에 있어서 차별적인 양상을 드러낸다. 이 두 담화 표지는 각각 화제의 마무리와 도입을 표시하지만 동시에 화제 전환에 공통적으로 기여하는데, 특징적으로 새로운 화제로의 전환 의도를 강력히 보여주면서 그 화제는 화자가 본격적으로 언급하고 싶어 하는 것임을 전달한다. 이와 함께 화자는 ``다름 아니라``를 통해 시간을 지연하여 다음 화제에 대한 청자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새로운 화제로 초점화하는 효과를 복합적으로 거둘 수 있는데, ``그건 그렇고``는 화제의 마무리를 강조하며 화제 전환을 유도하기 때문에 화제 도입을 통한 ``다름아니라`` 보다 청자와의 교섭적 양상이 잘 드러나지 않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밖에, 화제의 마무리를 표시하며 화제 전환을 이끄는 담화 표지로 ``각설하고``를 더불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담화 표지의 전략적 사용에 대한 이해는 화법 교육에 유용한 이론적 자원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that ``tareumanira(다름 아니라)`` and ``keugeongeureuhko(그건 그렇고)`` function as discourse markers in conversation. Since discourse markers express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s and the intention of utterance, ``tareumanira`` and ``keugeongeureuhko`` play a role in reducing discord in conversation and letting listener know speaker`s intention. Especially they signal that speaker wants to change the topic and that a new topic is what speaker really wants to communicate with listener. When context shift and topic change are fast and sudden, speaker should let listener follow the conversation. At this time, ``tareumanira`` and ``keugeongeureuhko`` indicate context shift and topic change, playing a role in leading smooth conversations as discourse strategies. The discourse functions of these makers, including mitigation of losing face, focusing are examined along with examples in TV drama conversation. ``Kakseolhago(각설하고)`` is similar in the discourse func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course markers of topic change in convers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hall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spec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of discourse markers, which can be utilized in an actual field of speaking-listening education, and that research on this area will be done more vigorously in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