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4.244
3.15.4.244
close menu
KCI 등재
``관계 지향적 듣기``와 ``반응``에 관한 연구
``Relation-oriented Listening`` and ``Response``
소미영 ( Mi Young So )
화법연구 20권 141-170(30pages)
UCI I410-ECN-0102-2013-710-001976263

그 동안의 화법 교육의 연구는 주로 말하기에 치중되어 왔다. 그러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80%의 책임이 듣는 청자에게 있다는 주장과 같이 듣기는 매우 중요한 영역이며 바람직한 듣기 교육의 방향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분석적 듣기, 공감적 듣기, 대화적 듣기 등으로 나열된 듣기의 개념들을 ``이해 지향적 듣기``와 ``관계 지향적 듣기``로 나누어 듣기의 관점을 재개념화 하고 ``관계 지향적 듣기``에서 ``반응``의 요소를 추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해 지향적 듣기``란 정보이해적 듣기, 분석적 듣기, 비판적 듣기를 포함하는 듣기의 방식이며 ``관계 지향적 듣기``란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상호 교섭성과 관계성에 중점을 둔 듣기 방식으로 대화 참여 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지향점을 두는 듣기 방식``이다.``관계 지향적 듣기``에서는 듣기의 과정 중 ``반응``을 강조한다. ``반응하기``는 청자가 효율적인 듣기를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계 지향적 듣기``에서 듣기 반응의 요소를 ``재진술하기``, ``질문하기``, ``느낌 표현하기``, ``요구하기``로 제시하였다. ``재진술하기``는 말하는 이의 말을 판단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다시 말해주는 것을 뜻한다. ``질문하기``는 말하는 이의 의도를 파악할 때까지 구체적으로 질문하는 것을 말한다. ``느낌 표현하기``는 들은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느낌을 말해주는 것이다. ``요구하기``는 듣는 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바라는 바를 긍정적인 언어로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관계 지향적 듣기``의 요소를 교육적으로 적용하여 훈련하고 습관화시킨다면 무의식적이고 즉각적인 듣기 반응이 아닌 관계를 개선하는 듣기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Meanwhile, the study of speech education mainly has focused on speaking. However, like opinions which 80% of the responsi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effectively depends on the audience, listening comprehension is a very important domain and it is a high time that the direction of a desirable and effective listening education should be set up. This study divides the concept of listening such as existing analytic listening, empathic listening and conversational listening into ``comprehension-oriented listening`` and ``relation-oriented listening``, re-conceptualizing the perspective of listening. And this study will have a meaningful result to extract the element of the response from the relation-oriented listening. While ``Comprehension-oriented listening`` is a listening method, including listening for understanding information, analytic listening and critical listening, ``Relation-oriented listening`` is a listening method, focusing on improving the relation among participants and enriching their lives in terms of transactional perspective. As responding not only checks on audiences`` listening effectively but also is a significant element to promote the conversation, ``Relation-oriented listening`` emphasizes the response among the course of listening. Therefore, I suggested the element of listening response from the ``Relation-oriented listening`` to ``Re-stating``, ``Questioning``, ``Expressing feelings`` and ``Requesting``. ``Re-stating`` means to respeak objectively without judging speaker`s speaking. ``Questioning`` is to make a question concretely until apprehending the speaker`s intention. ``Expressing feelings`` is to tell feelings concretely on something being heard. ``Requiring`` means to require something for audiences to deliver or to desire with an affirmative language. If we drill and make a regular habit the element of ``Relation-oriented listening`` to apply to ourselves educationally, we will fulfill the listening education that improves the relations not being unconscious and instant listening respons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